메뉴

산업 정책

서울 아파트값 4000만원 붕괴…매수심리 위축 장기화 우려

전용 85㎡ 초과 가장 큰 하락폭
매수심리 위축에 거래량 급감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3.3㎡당 4000만원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방은 지난달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전월 대비 5.2% 하락한 3996만원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가 3.3㎡당 7639만원으로 전월보다 12.6% 하락해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강북구 5.9%, 관악구 5.6%, 은평구 4.3%, 강서구 3.7% 순으로 하락했습니다.

 

서초구는 1월 거래량이 전월 146건에서 87건으로 약 40% 감소하며, 고가 단지 거래 비중이 줄어든 영향으로 평균 거래가가 낮아졌습니다. 강북구와 관악구도 시세 대비 저렴한 매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며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반면, 종로구는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31% 상승해 가장 큰 오름폭을 보였습니다. ‘경희궁자이3단지’ 전용 59㎡가 18억1500만원에 신고가로 거래되며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서대문구는 ‘e편한세상신촌’과 ‘신촌푸르지오’의 거래가 이어지며 10.7% 올랐고, 영등포구(6.3%), 용산구(5.8%), 도봉구(5.7%)도 상승했습니다.

 

면적별로는 전용 85㎡ 초과 구간의 가격 하락폭이 가장 컸습니다. 이 면적대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5068만원으로 전월 대비 6% 낮아졌습니다. 중대형 아파트는 구입자금과 유지비 부담이 커 거래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전용 60㎡ 이하는 2.8%, 60~85㎡는 4% 하락하며 전 면적대에서 하락세가 나타났습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1월 기준 2343건으로 2023년 12월(1789건)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대외 리스크와 대출 제한으로 인해 매수세가 크게 위축됐습니다.

 

직방 관계자는 “오는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 등으로 대출 규제가 계속돼 매수세 회복은 어려울 것”이라며 “잠실, 삼성, 대치, 청담 등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일부 거래로 이어질 수 있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