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 경제

카카오뱅크, 3분기 누적 순이익 3751억…비이자수익이 실적 견인

비이자수익 26%↑, 대출비교·투자 플랫폼 성장
NIM 하락에도 안정적 성장세 유지
고객 2624만명 돌파, MAU 역대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는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이 375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556억원)보다 5.5%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개별 3분기 순이익은 1114억원으로 10%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뱅크는 대출 중심의 수익구조를 벗어나 비이자수익을 확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3분기 누적 비이자수익은 8352억원으로 전년 대비 26.7%(1761억원) 늘었습니다. 회사는 수신 확대와 고객 트래픽을 기반으로 수수료 및 플랫폼 비즈니스, 자금운용 등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수료 및 플랫폼 관련 수익은 2312억원으로, 대출비교서비스와 광고, 투자 플랫폼 성장세가 뒷받침됐습니다. 3분기 대출비교서비스를 통한 제휴 금융사 대출 실행금액은 1조2240억원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했습니다.

 

또 파킹형 투자상품 ‘MMF박스’ 출시와 펀드서비스 개편 효과로 고객이 투자한 펀드 및 MMF 잔고가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이에 전체 영업수익(2조3273억원) 중 비이자수익 비중은 36%로 전년보다 6%포인트 확대됐습니다.

 

반면 이자수익은 1조492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5392억원)보다 3.1% 감소했습니다. 개별 분기 기준으로도 5188억원에서 4922억원으로 줄었습니다. 이는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축소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NIM은 지난해 4분기 2.15%에서 올해 1분기 2.09%, 2분기 1.92%, 3분기 1.81%로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분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 고객 수는 2624만명으로, 올해에만 136만명이 새로 유입됐습니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997만명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수신 잔액은 65조7000억원, 여신 잔액은 45조2000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뱅크는 가계대출의 건전성 관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중·저신용자 대상 금융지원도 확대했습니다. 3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잔액 비중은 32.9%로 집계됐습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안정적인 실적 기반 위에서 포용금융을 실천하고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선보여 고객이 가장 먼저 찾는 종합금융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며 “AI를 활용한 앱 고도화와 글로벌 진출 확대를 통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