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북미를 비롯한 해외 원전시장 진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4일 웨스팅하우스 출신의 원전 전문가 마이클 쿤(Michael Coon) 전 부사장을 새롭게 영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인사는 글로벌 원전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핵심 인재 확보 전략의 일환입니다.
마이클 쿤은 미국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Westinghouse Electric Company)와 ABB 컴버스천 엔지니어링(Combustion Engineering) 등에서 주요 임원을 지내며 다양한 원전 프로젝트를 이끌었습니다.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대형원전 설계 및 EPC 자문을 비롯해 북미·유럽 지역 신규 수주 전략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향후 현대건설 미국법인에서 원자력 기술영업을 총괄하며, 원전 자문뿐 아니라 미국 정부·유관기관 및 국제 파트너사와의 협력 네트워크 확장을 담당합니다. 또한 SMR(소형모듈원전)과 대형원전 프로젝트의 사업 발굴, 인허가, 현지 관리 등 전 과정을 지원해 글로벌 수주 경쟁력 강화를 이끌 계획입니다.
마이클 쿤은 과거 한빛 3~6호기, 한울 3·4호기, 새울 1·2호기 등 다수의 국내 원전 프로젝트 설계와 시공 지원에 참여했습니다. 한국 원자력산업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설계 인증 프로젝트에도 참여한 바 있어 최신 원전 기술 흐름에 정통한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최근 미국 에너지 디벨로퍼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와 대형원전 4기에 대한 기본설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와 함께 웨스팅하우스, 홀텍 등과 손잡고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 설계와 미국 팰리세이즈 SMR-300 건설 사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ENR 상위 건설사 및 UAE 원자력공사 등과의 협력 범위를 넓히며 글로벌 원전 생태계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에너지 안보와 공급망 안정성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을 현재의 4배 수준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현대건설의 원전사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마이클 쿤은 글로벌 원전 분야에서 축적한 폭넓은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대건설의 해외 원전사업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번 영입은 현대건설이 세계 에너지 시장의 새로운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