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업 비즈

현대건설, 국내 최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완공

총사업비 1조3천억 원 규모…AI·클라우드 인프라 핵심거점으로 부상

 

현대건설이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습니다. 회사는 경기도 용인시 죽전 지역에 ‘용인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를 준공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퍼시픽자산운용이 발주하고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와 신한금융투자가 공동 투자한 1조3천억 원 규모의 대형 개발사업입니다. 연면적 9만9125㎡(약 3만 평)에 달하는 부지에는 데이터센터 2개 동과 부속시설이 들어섰습니다.

 

‘용인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는 IT Load 64MW, 수전용량 100MW를 확보해 현재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이는 약 20만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하며, 급증하는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산업 수요에 대응하도록 설계됐습니다.

 

특히 10kW 이상 고밀도 운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춰, 차세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인프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통신사업자에 종속되지 않는 ‘망중립(Neutral)’ 시스템을 적용해 다양한 글로벌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으며, 판교권과 인접한 입지 덕분에 수도권 남부의 주요 디지털 허브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2022년 2월 착공 이후 약 43개월 만에 완공된 이 시설은 현대건설의 첨단 시공기술과 공정관리 노하우가 집약된 결과물입니다. 협소한 도심형 부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STD(Strut-Top-Down) 공법 ▲BIM(빌딩정보모델링) 기반 간섭 최소화 설계 ▲패스트트랙(Fast-Track) 방식 등을 적용해 설비·전력·배관 등 복합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했습니다.

 

에너지 효율성도 주목받습니다. 고효율 냉방 시스템과 프리쿨링(Pre-Cooling) 기술,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PUE 1.3 수준의 효율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의 운영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으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인프라로 평가됩니다.

 

또한 국제 인증 기준 ‘티어Ⅲ(Tier 3)’ 이상 수준을 충족해 24시간 무중단 운영이 가능한 안정적인 전력공급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비상발전기, UPS(무정전전원장치), 냉동기 등이 이중·삼중화돼, 한쪽 라인이 중단되더라도 즉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용인 죽전 데이터센터 준공은 국내 디지털 산업 고도화 흐름 속에서 현대건설의 인프라 역량을 입증한 사례”라며 “수도권을 비롯한 주요 거점에 친환경·고효율 데이터센터 모델을 지속 개발해 AI와 클라우드 산업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KT목동 IDC, 네이버 ‘각 세종’, K스퀘어 가산 데이터센터 등 주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습니다. 앞으로는 SMR(소형모듈원전) 연계형 데이터센터 모델 개발을 통해 전력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할 계획입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