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민간 금융권이 향후 5년간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공동 조성해 AI, 반도체, 모빌리티, 바이오 등 미래 첨단전략산업에 집중 투자합니다. 산업 파급력이 큰 범부처 메가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자금을 공급해 대한민국의 장기 성장동력을 육성한다는 목표입니다.
금융위원회는 10일 마포 창업지원센터 ‘프론트원’에서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지방시대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금융권, 산업계가 참여한 가운데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행사에서 “무역장벽 강화와 통상환경 불확실성에도 주요국들은 첨단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과감히 펀드 규모를 150조원으로 확대해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민·정부·경제계가 함께 미래를 만들어갈 초석으로 삼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성장펀드는 당초 100조원 규모에서 50% 늘어난 150조원으로 확대됐습니다. 이 가운데 첨단전략산업기금 75조원은 한국산업은행이 운영하며, 민간·국민·금융권 자금 75조원은 자율적으로 참여합니다. 산업은행은 기금채 발행과 정부 예산을 활용해 위험을 선제적으로 부담하고 민간 참여를 유도합니다.
투자 대상은 AI(30조원), 반도체(20조9000억원), 모빌리티(15조4000억원), 바이오·백신(11조6000억원), 이차전지(7조9000억원) 등 첨단 전략 산업이며, 로봇·수소·디스플레이·방산 등으로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투자 방식은 직접지분·간접지분 투자, 인프라 투융자, 초저리 대출 등으로 다양화됩니다.
AI데이터센터, 첨단산업단지 인프라 구축과 같은 대규모 설비투자뿐 아니라 기술기업 M&A 자금, 초장기 기술투자펀드, 국민참여형 펀드 등도 추진됩니다.

금융위는 “국민성장펀드는 여신 중심에서 투자 중심으로 금융의 물줄기를 바꾸는 금융 대전환 과제”라며 “은행 자금중개 기능 혁신, 초대형 IB 육성, 모험자본 활성화 등을 통해 금융과 실물경제가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