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 경제

카카오뱅크,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13조 돌파…1분기 공급 6000억

중·저신용 대출 누적 13조 돌파
데이터 기반 리스크 관리 강화

 

 

◇ 중·저신용 대출 공급 확대…누적 취급액 13조 돌파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에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개인 및 개인사업자 신용대출을 약 6000억 원 규모로 제공했다고 밝혔습니다. 2017년 7월 출범 이후 카카오뱅크가 누적 공급한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규모는 13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중·저신용 대출의 평균잔액 비중은 32.8%로 집계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1년 말 17% 수준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상승한 수치입니다. 카카오뱅크는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 규모와 중도상환수수료 전액 면제로 인해 비중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적극적으로 공급을 확대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 이자부담 완화·리스크 관리 병행

 

신규로 취급된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의 평균잔액 비중은 33.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올해 목표치인 30%를 초과 달성한 것입니다. 1분기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평균잔액은 4조 9000억 원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 고객의 금융 부담을 덜기 위해 1분기 신용대출 금리를 0.30%포인트 낮춰 제공했습니다. 은행연합회가 집계한 3월 일반 신용대출 평균금리에 따르면 900점 이하 모든 신용 점수 구간에서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인터넷은행을 통틀어 카카오뱅크의 금리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또한 금융권 대환대출 인프라를 활용한 ‘신용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에서도 고객의 이자 부담을 낮췄습니다. 1분기 신용대출 갈아타기 이용 고객 중 약 40%가 중·저신용 고객으로 나타났습니다.


◇ 데이터 기반 평가모형으로 금융취약계층 포용

 

카카오뱅크는 데이터 기반 신용평가모형의 고도화 덕분에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비금융정보를 활용한 대안 신용평가모형을 적용해 금융정보가 부족한 고객이나 신용점수가 낮은 고객에게도 맞춤형 대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사업자 고객의 경우 업종별 특화 모형을 개발해 음식업, 서비스업,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온라인 판매자 등 다양한 분야의 소상공인이 사업 역량은 높지만 낮은 신용도로 대출받기 어려웠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대출 확대에도 카카오뱅크의 자산건전성 지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총여신 연체율은 전분기보다 0.01%포인트 낮아진 0.51%로 집계됐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도 금융 이력이 부족한 고객(씬파일러)을 포함해 금융소외계층의 대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신용평가모형 고도화와 대안정보 활용 범위를 넓혀 중·저신용 대출 공급을 늘리고 건전성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지난 3월에는 ‘햇살론뱅크’를 통해 저소득·저신용 고객의 부채 구조 개선과 신용도 회복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연내 신규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추가로 공급해 서민금융 지원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 대출이 금융권에서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이지만 카카오뱅크는 지속적으로 공급을 늘려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금리와 철저한 리스크 관리로 포용금융을 실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