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HDC현대산업개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에 조합원당 최저 이주비 20억 제안

국내 정비사업 최고 수준 조건 제시
CD금리+0.1% 금융비용·공사비 절감
공사기간 단축·수익형 설계로 경쟁력 확보

 

HDC현대산업개발은 서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사업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조합원당 최저 이주비 20억원(LTV 150%)을 제안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이번 조건은 국내 도시정비사업 역사상 최고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HDC현산이 제시한 이주비 규모는 과거 최고 수준이었던 한남4구역 삼성물산의 12억원보다 8억원 높으며, 이번 경쟁사 포스코이앤씨의 16억원(LTV 160%)보다도 4억원 많은 금액입니다. 특히 HDC현산은 최저 이주비를 초과하는 대출에도 동일한 LTV 150% 조건을 적용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포스코가 제시한 LTV 160%가 명목상으로는 높지만, 실제 대출 실행 과정에서는 담보평가와 소득요건 등의 제약으로 실수령액 차이는 미미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비 금융 조건에서도 경쟁사 대비 유리한 제안을 내놨습니다. HDC현산은 업계 최저 수준인 CD금리+0.1%를 제시해 포스코(CD금리+0.7%)보다 0.6%포인트 낮췄습니다. 수천억원대 사업비 규모를 고려하면 이자비용에서 수십억원의 절감 효과가 예상됩니다.

 

공사비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HDC현산은 평당 858만원의 공사비를 제안해 포스코이앤씨의 894만원보다 평당 36만원 낮췄습니다. 이는 조합이 사전 산정한 예정 공사비(960만원)보다도 100만원 이상 저렴한 수준입니다.

 

다만 회사가 제시한 총 공사비는 9244억원으로 포스코(9099억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연면적 산정 방식의 차이에 따른 착시라는 설명입니다. HDC현산은 포스코보다 약 5843평 넓은 연면적을 포함한 설계를 제안했으며, 용산역과 연결되는 지하상가·통로 등 수익형 시설을 포함해 조합원의 실질적 수익 증대 구조를 마련했습니다.

 

HDC현산 관계자는 “지하층은 용적률에 포함되지 않아 조합원 권리가액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분양 수익은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설계”라며 “공사비 변동 리스크를 줄이는 동시에 수익성을 높였다”고 밝혔습니다.

 

공사기간 역시 47개월을 제시한 포스코보다 5개월 짧은 42개월로 제안했습니다. 이는 임시거주비와 금융비용을 줄이고, 조합원들의 조기 입주 및 분양수익 실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한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사업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일대 7만1901㎡ 부지에 지하 6층~지상 38층, 아파트 777가구와 오피스텔 894실, 상업 및 업무시설이 포함된 대규모 복합단지로 조성됩니다.

 

지난 4월 입찰 마감 이후 HDC현산과 포스코이앤씨가 최종 입찰서를 제출했으며, 조합은 5월 중 홍보관 개관과 합동설명회를 거쳐 6월 중순 조합총회에서 시공사를 최종 선정할 예정입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