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강남3구·용산 토지거래허가 확대에 매물·문의 급감

강남·서초·용산 토지거래허가 첫날 현장
집값 하락보단 거래량 감소 우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로 확대된 24일,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위축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매도인과 매수인 모두 관망세로 전환하면서, 부동산 중개업소에는 발길이 뚝 끊겼습니다.

 

서울 잠실동 A공인중개 사무소 관계자는 “전세가 들어 있는 급매물은 지난 주말 대부분 팔렸다”며 “지금은 집주인도 무리하게 팔지 않겠다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갭투자가 사실상 막히면서 매물이 줄어들었고, 규제 강화로 매수 문의도 크게 줄었습니다. 잠실 ‘엘리트’ 단지에서는 호가가 2억~3억원씩 하락한 매물이 등장하고 있으며, 고층 매물도 30억원 이하로 거래 가능한 상황입니다.

 

서초구 반포동 원베일리도 상황은 유사합니다. 전용 84㎡ 호가가 60억원을 넘겼으나 현재는 2억~3억원가량 하락했습니다. 실거주 요건이 강화되면서 매수자들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는 주거지역 기준 6㎡ 초과 주택을 거래할 경우 2년간 실거주 의무가 부과됩니다. 기존 임차인이 있는 경우 임대차 계약 종료 증빙자료가 있어야 매매가 가능합니다.

 

외곽지역에서는 형평성 문제로 불만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용산구 도원동은 규제 대상인데, 바로 인접한 마포구 도화동은 제외돼 지역 간 차별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인한 가격 하락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거래량 감소가 더 클 것이며, 금리 인하 기대감과 공급 부족 문제로 중장기 반등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편 일부 중개업소에서는 수표 발급일을 조작해 갭투자를 시도하는 등 편법 거래 우려도 나오고 있어 당국의 감시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