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권 아파트값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규제가 풀리면서 잠실, 대치, 반포 등지에서 신고가 기록이 잇따르고 강동구까지 상승세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 84㎡는 지난 11일 28억4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같은 달 5일과 8일에도 28억원대에 거래가 이뤄졌고, 해제 이후로는 27억원대 급매물은 자취를 감췄습니다. 현재 호가는 31억원까지 올라섰습니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84㎡도 지난 13일 40억원에 손바뀜해 작년 9월보다 4억9000만원 오른 신고가를 찍었습니다. 대치동 ‘은마’ 전용 76㎡도 지난 14일 28억원에 거래돼 실거주 요건에도 불구하고 직전 거래가보다 6000만원 높게 팔렸습니다.
잠실동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규제 해제가 예정됐을 때부터 잔금을 해제 이후로 미루려는 계약이 많았다”며 “해제 이후 시장 분위기가 상승 흐름을 탔다”고 전했습니다.
강남권의 상승세는 인근으로도 번지고 있습니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165㎡는 지난 8일 58억원에 거래돼 전고가보다 1억원 상승했습니다. 같은 날 잠원동 ‘래미안신반포팰리스’ 전용 104㎡는 40억5000만원에 팔려 두 달 새 2억원 가까이 뛰었습니다.
강남4구로 꼽히는 강동구 고덕동에서도 신고가 소식이 이어졌습니다. ‘고덕그라시움’ 전용 84㎡는 지난 12일 21억원에 거래돼 지난 1월보다 1억2000만원 올랐고,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 전용 59㎡도 지난 8일 14억5500만원으로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강동구 고덕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송파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며 “거래도 점차 활발해질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강남권 상승세가 양극화를 더 키울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강남권을 억눌렀던 규제가 풀리며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며 “비강남권과의 가격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반면 일부 전문가는 “그동안 억눌린 가격이 반영되는 과정일 뿐 시간이 지나면 안정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월 셋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06% 올라 전주(0.02%)보다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 송파구가 0.36%, 강남구 0.27%, 서초구가 0.18% 오르며 강남권이 전체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동남권 매매수급지수도 기준선인 100을 다시 넘어 매수 심리가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