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842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특히 2분기 실적은 68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47억원) 대비 96.3% 증가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습니다. 이자이익은 대출자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하와 가상자산 예치금 이용료율 상승으로 이자비용이 늘어나 1033억원에 그쳤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1286억원)보다 19.7% 감소한 수치입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197억원으로 1년 전보다 16.2% 늘었습니다. 채권 운용수익과 플랫폼 광고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으며, 특히 앱테크 서비스 ‘용돈받기’는 출시 두 달 만에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해 광고 수익을 4배 이상 끌어올렸습니다. 케이뱅크는 향후 다양한 앱테크 서비스로 광고 제휴를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대손비용도 개선됐습니다. 담보대출 비중 확대와 여신심사 고도화에 힘입어 2분기 대손비용은 413억원으로 전년 동기(562억원) 대비 26.5% 줄었습니다. 케이뱅크는 대안신용평가모형 ‘이퀄’을 도입하고, 카드사 등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심사에 반영하며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건전성 지표 역시 안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가 올해 상반기 263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설립 이후 가장 큰 실적을 올렸습니다. 고객 기반 확장과 다양한 수익 구조 확보가 호실적의 핵심 배경으로 꼽힙니다. 카카오뱅크가 6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2분기 순이익은 1263억원으로, 전년 동기(1202억원) 대비 5.1% 증가했습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26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314억원)보다 14% 늘며 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여신이자수익이 소폭 줄었음에도 비이자수익이 크게 확대됐다는 점입니다. 상반기 여신이자수익은 9999억원으로 작년 동기(1조204억원)보다 2% 감소했지만, 비이자수익은 5626억원으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습니다. 전체 영업수익(1조5625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6%까지 커졌습니다. 대출·투자·지급결제 등 주요 사업부문은 물론 펌뱅킹과 오픈뱅킹, 광고 수익도 고르게 성장했습니다. 특히 수수료·플랫폼 부문 수익은 1535억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습니다. 대출비교서비스 성과도 눈에 띕니다. 현재 제휴 금융사는 70여곳으로 확대됐으며, 2분기에만 해당 서비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128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는 2023년 128억원 대비 약 10배에 달하는 규모이며 2022년 836억원을 넘어선 출범 이래 최대 실적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수신잔액은 28조5700억원으로 전년 말 19조700억원보다 49.8% 증가했습니다. 플러스박스 고액예치 고객 대상 금리 인상과 한도 폐지, 생활통장 리워드와 돈나무 키우기 서비스, K패스 기능을 추가한 MY체크카드·ONE체크카드 출시 등이 성장 요인으로 꼽힙니다. 케이뱅크의 가계 수신에서 요구불예금 비중은 47.1%에서 59.5%로 높아졌습니다. 여신잔액도 담보대출 확대에 힘입어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여신잔액은 16조2700억원으로 전년 말 13조8400억원보다 17.6% 늘었습니다. 대출이동제 시행에 따른 아파트담보대출 확대와 인터넷은행 최초 비대면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인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 출시가 주효했습니다. 전체 대출 중 담보 및 보증대출 비중은 39.0%에서 53.1%로 상승했습니다. 여수신 확대에 따라 이자이익은 4815억원으로 6.9% 늘었으며 비이자이익은 613억원으로 전년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