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 경제

카카오뱅크, 상반기 순이익 2637억…비이자수익이 성장 견인

카카오뱅크, 상반기 순이익 최대치
비이자수익 성장으로 실적 확대
고객 2586만명 돌파, 서비스 다변화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가 올해 상반기 263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설립 이후 가장 큰 실적을 올렸습니다. 고객 기반 확장과 다양한 수익 구조 확보가 호실적의 핵심 배경으로 꼽힙니다.

 

카카오뱅크가 6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2분기 순이익은 1263억원으로, 전년 동기(1202억원) 대비 5.1% 증가했습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26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314억원)보다 14% 늘며 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여신이자수익이 소폭 줄었음에도 비이자수익이 크게 확대됐다는 점입니다. 상반기 여신이자수익은 9999억원으로 작년 동기(1조204억원)보다 2% 감소했지만, 비이자수익은 5626억원으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습니다. 전체 영업수익(1조5625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6%까지 커졌습니다.

 

대출·투자·지급결제 등 주요 사업부문은 물론 펌뱅킹과 오픈뱅킹, 광고 수익도 고르게 성장했습니다. 특히 수수료·플랫폼 부문 수익은 1535억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습니다.

 

대출비교서비스 성과도 눈에 띕니다. 현재 제휴 금융사는 70여곳으로 확대됐으며, 2분기에만 해당 서비스를 통한 실행액이 1조3870억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늘었습니다. 투자상품 경쟁력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출시된 머니마켓펀드(MMF) 기반 파킹형 상품 ‘MMF박스’는 한 달 만에 잔액 5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주식 계좌 개설, 국내·해외주식 거래, 공모주 청약, 퇴직연금(IRP) 비교, 펀드 판매까지 투자 관련 서비스는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체크카드 사용액과 시장점유율도 2017년 서비스 시작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자산운용 측면에서는 상반기 투자금융자산손익이 3458억원에 이르렀습니다.

 

고객 규모도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2분기 말 기준 고객 수는 2586만명으로 상반기에만 100만명이 새로 가입했습니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990만명, 주간활성이용자수(WAU)는 1450만명으로 각각 증가했습니다. 이는 신규 앱테크 서비스, AI 검색, 투자상품 등 다양한 생활·금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인 결과로 분석됩니다.

 

수신도 크게 성장했습니다. 2분기 말 수신 잔액은 63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조3000억원 늘었습니다. 특히 모임통장은 1200만명 이상이 이용 중이며 잔액은 10조원에 달했습니다.

 

하반기에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관리할 수 있는 ‘우리아이서비스’, AI 기반 회비 관리 기능 ‘AI모임총무’ 등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입니다. 카카오뱅크는 2027년까지 고객 3000만명, 총수신 90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여신 관리 기조도 강화했습니다. 2분기 말 총여신잔액은 44조8000억원으로, 가계대출은 24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대신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을 확대해 2분기에만 6000억원을 공급했으며,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안정적인 성장 기반 위에서 포용금융을 확대하고 혁신적인 신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이 가장 먼저 찾는 종합금융플랫폼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