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는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이 375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556억원)보다 5.5%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개별 3분기 순이익은 1114억원으로 10%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뱅크는 대출 중심의 수익구조를 벗어나 비이자수익을 확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3분기 누적 비이자수익은 8352억원으로 전년 대비 26.7%(1761억원) 늘었습니다. 회사는 수신 확대와 고객 트래픽을 기반으로 수수료 및 플랫폼 비즈니스, 자금운용 등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수료 및 플랫폼 관련 수익은 2312억원으로, 대출비교서비스와 광고, 투자 플랫폼 성장세가 뒷받침됐습니다. 3분기 대출비교서비스를 통한 제휴 금융사 대출 실행금액은 1조2240억원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했습니다. 또 파킹형 투자상품 ‘MMF박스’ 출시와 펀드서비스 개편 효과로 고객이 투자한 펀드 및 MMF 잔고가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이에 전체 영업수익(2조3273억원) 중 비이자수익 비중은 36%로 전년보다 6%포인트 확대됐습니다. 반면 이자수익은 1조492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5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가 올해 상반기 263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설립 이후 가장 큰 실적을 올렸습니다. 고객 기반 확장과 다양한 수익 구조 확보가 호실적의 핵심 배경으로 꼽힙니다. 카카오뱅크가 6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2분기 순이익은 1263억원으로, 전년 동기(1202억원) 대비 5.1% 증가했습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26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314억원)보다 14% 늘며 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여신이자수익이 소폭 줄었음에도 비이자수익이 크게 확대됐다는 점입니다. 상반기 여신이자수익은 9999억원으로 작년 동기(1조204억원)보다 2% 감소했지만, 비이자수익은 5626억원으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습니다. 전체 영업수익(1조5625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6%까지 커졌습니다. 대출·투자·지급결제 등 주요 사업부문은 물론 펌뱅킹과 오픈뱅킹, 광고 수익도 고르게 성장했습니다. 특히 수수료·플랫폼 부문 수익은 1535억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습니다. 대출비교서비스 성과도 눈에 띕니다. 현재 제휴 금융사는 70여곳으로 확대됐으며, 2분기에만 해당 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