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시장이 강한 규제 기조로 위축되면서 수요가 비교적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이후 오피스텔 거래는 크게 늘어난 반면 아파트 거래는 급격히 줄어들어 대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보면 10월 16일부터 말일까지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건수는 760건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대책 발표 전 15일간 거래된 289건의 약 2.6배 수준입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거래는 1640건으로, 직전 기간 5262건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며 사실상 거래가 끊긴 상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강화된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가 아파트 수요를 억누르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이 대체 선택지로 부상한 것으로 분석합니다. 오피스텔은 준주택에 해당해 청약통장, 자금조달계획서, 실거주 요건 등이 적용되지 않으며, 최대 LTV 70% 대출이 가능하고 DSR 규제도 받지 않는 구조입니다. 부동산 세법상 주택으로 분류되지만, 청약 대기자의 무주택 자격이 유지되는 점 역시 매수 유입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가격 흐름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KB부
정부가 지난달부터 대출 규제를 강화한 가운데 경기도 과천시 아파트값이 약 7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집값 상승세와 달리 거래가 끊기며 중개업소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다섯째 주 기준(이달 30일 기준) 과천시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98% 오르면서 2018년 9월 이후 최대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과천의 집값은 지난해 6월부터 1년 넘게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올해 들어서만 8.66%가 올라 강남구(9.63%), 송파구(9.39%)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신고가 갱신 소식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중앙동 ‘과천푸르지오써밋’ 전용 84㎡는 지난달 26억원(13층)에 거래되며 한 달 전 최고가인 25억3000만원보다 7000만원 높은 금액으로 신고가를 다시 썼습니다. 이 외에도 원문동 ‘래미안슈르’ 전용 84㎡가 21억7000만원(9층)에, 부림동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 전용 114㎡가 30억원(12층)에 각각 거래되며 이전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별양동 ‘과천자이’ 전용 59㎡도 20억5000만원(16층)에,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