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오피스텔로 수요 이동…아파트 거래 급감

규제 강화 이후 오피스텔 거래 급증
아파트 시장 거래절벽 심화 지속

 

아파트 시장이 강한 규제 기조로 위축되면서 수요가 비교적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이후 오피스텔 거래는 크게 늘어난 반면 아파트 거래는 급격히 줄어들어 대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보면 10월 16일부터 말일까지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건수는 760건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대책 발표 전 15일간 거래된 289건의 약 2.6배 수준입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거래는 1640건으로, 직전 기간 5262건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며 사실상 거래가 끊긴 상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강화된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가 아파트 수요를 억누르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이 대체 선택지로 부상한 것으로 분석합니다.

 

오피스텔은 준주택에 해당해 청약통장, 자금조달계획서, 실거주 요건 등이 적용되지 않으며, 최대 LTV 70% 대출이 가능하고 DSR 규제도 받지 않는 구조입니다. 부동산 세법상 주택으로 분류되지만, 청약 대기자의 무주택 자격이 유지되는 점 역시 매수 유입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가격 흐름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KB부동산 월간 통계에 따르면 올해 10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24.6으로 전달 대비 0.1포인트 올라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임대수익률 역시 4.8%로 나타나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대출 규제가 크게 강화된 상황에서 LTV 70%가 가능한 오피스텔이 실수요자의 현실적 선택지가 되고 있다”며 “특히 청약 포기가 어려운 3040세대가 무주택 지위를 유지하면서 거주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 수요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높아진 관심 속에 연말 공급되는 서울 주요 오피스텔 분양에도 시선이 모이고 있습니다. 마포구 합정동에서 선보이는 ‘라비움 한강’은 전용 40~57㎡ 소형주택 198세대와 전용 66~210㎡ 오피스텔 65실로 구성됩니다. 일부 타입은 한강 조망이 가능한 펜트하우스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합정역 도보 2분 거리의 초역세권 입지와 홍대 상권 접근성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동대문구 청량리동의 ‘청량리역 요진 와이시티’는 전용 43~59㎡ 주택 130세대와 전용 65~84㎡ 오피스텔 25실을 공급합니다. GTX-B·C, KTX, 경의중앙선을 한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복합 환승역 기반의 교통 접근성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성동구 왕십리역 일대에서 공급되는 ‘왕십리역 어반홈스’는 A·B동 84실 규모로, 전 타입 2룸 구조와 풀퍼니시드 시스템, 스마트 IoT 설계를 적용해 1~2인 가구의 수요가 기대됩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