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윤희성)은 미국의 상호관세 도입 등 통상정책 변화로 촉발된 수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총 20조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지원한다고 11일 밝혔습니다.
먼저 기업의 수출 및 해외진출을 위한 6조5000억원 규모의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합니다. 이를 통해 신용도가 낮거나 대외환경 변화에 취약한 중소·중견기업의 금리를 최대 2.0%포인트 인하해 금융비용 부담을 줄이고 경영안정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또한 수출입은행이 자체 예산으로 제공하는 무상 종합컨설팅서비스 지원 규모를 기존 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확대합니다. 통상환경 변화, 신시장 개척, ESG 대응 등을 위한 실질적인 컨설팅을 강화해 기업의 해외 경쟁력 제고를 돕는다는 방침입니다.
통화 리스크 완화를 위한 제도 개선도 포함됩니다. 기존에 수출 관련 대출에만 적용되던 ‘대출 통화전환옵션’을 수입 관련 대출까지 확대 적용합니다. 이 제도는 중소·중견기업이 대출기간 중 최대 2회까지 대출통화를 원화↔외화, 외화↔다른 외화 간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무상으로 부여받는 제도입니다.
수출입은행은 글로벌 공급과잉과 통상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석유화학, 철강 등 주요 기간산업에 총 10조원의 유동성을 공급하며, 해당 기업에는 최대 0.6%포인트 금리우대가 적용됩니다.
또한 대기업과 공동으로 해외에 진출했거나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에는 총 3조원 규모의 상생금융을 지원하고, 금리는 최대 1.0%포인트 인하됩니다.
수출입은행은 기업의 대외환경 변화 대응력 강화와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도 병행합니다. 신시장 개척 및 수출다변화 기업에는 금리 인센티브와 함께 1조원의 금융을 추가로 제공하고, 미래 신산업 육성과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친환경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R&D) 관련 대출한도도 확대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첨단전략산업 등 신성장 분야를 위한 투자금융, 지난해 신설된 연 10조원 규모의 ‘공급망안정화기금’ 등 정책금융 수단을 총동원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윤희성 행장은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주요국 간 경쟁심화 등 복합적 경제위기 속에서 기업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과감하고 적시적인 정책금융 지원이 필요하다”며 “우리 기업이 신통상질서와 산업구조 재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