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는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한동욱 교수 연구팀이 인천대 박경민 교수팀과 함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체적 근육 손실 치료용 바이오잉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세포 생존율을 높이고 근육 재생을 유도하는 과산화마그네슘(MgO₂)을 활용해 고기능성 바이오잉크를 제작한 것으로, '테라노스틱스' 3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습니다. 연구진은 과산화마그네슘을 도입한 GtnSH/GtnMI 기반 바이오잉크를 개발했으며, 산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해 손상 조직의 세포 생존과 근육 분화를 동시에 유도했습니다. 실험 결과 해당 바이오잉크는 기존 소재 대비 근육량을 144% 증가시키고 손상 부위를 37% 줄이는 등 뛰어난 조직 재생 효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M2 대식세포 활성화 및 CD4+, CD8+ T세포 조절 등 면역 반응 제어 기능도 입증돼 응급 상황에서 조직 손상 대응 능력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기술은 전쟁, 우주 등 의료 사각지대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며, 스포츠 손상, 교통사고, 군인 외상 등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맞춤형 이식재로 확장될 전망입니다. 한동욱 교수는 “근육뿐 아니라 뼈, 연골, 신경 등 다양한 조직 재생 치료제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지난달 말 기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상장지수펀드(ETF)'가 동종 펀드 대비 가장 낮은 실부담비용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실부담비용은 0.1357%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국내 상장된 동일 기초지수 상품 대비 최저입니다. 실부담비용이란 총보수에 펀드 운용 과정에 발생하는 기타 비용, 매매·중개 수수료율을 합산한 수치로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전체 비용을 의미합니다. ETF를 오래 투자할수록 누적되는 실부담비용은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금계좌에서 투자하 경우 더욱 고려해야 할 요소로 꼽힙니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는 낮은 실부담비용으로 연초 이후 동종 펀드 대비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미국 증시 조정장세로 미국 대표지수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100이 연초 이후 모두 10% 이상 하락한 가운데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는 같은 기간 9.61% 내리면서 수익률을 방어하는 모습이었습니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는 10년 이상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해오며 성장성과 재무 건전성을 인
제네시스 브랜드(이하 제네시스)는 15일(화, 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브랜드 복합문화공간 '제네시스 하우스 뉴욕'에서 전동화 오프로더 SUV '엑스 그란 이퀘이터 콘셉트(X Gran Equator Concept)'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이와 함께 모터스포츠팀 '제네시스 마그마 레이싱'의 리버리를 적용한 레이싱 차량 'GMR-001 하이퍼카'의 실차 디자인 모델과 레이싱 슈트 디자인을 선보이며 내구 레이싱 참가에 대한 브랜드의 의지를 다시 한번 공고히 했다.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질병관리청이 국산 mRNA 백신 플랫폼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팬데믹에 대비해 안정적으로 백신을 공급하기 위해 mRNA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mRNA 백신의 비임상 단계부터 품목허가까지 정부가 지원하는 것으로 올해부터 2028년까지 총 5052억원을 투입합니다. 올해는 본 사업의 첫 진입 단계로 질병청에서 선정된 기업들의 비임상 연구를 지원합니다. GC녹십자는 올해 동물에서의 비임상 시험 결과 확보와 임상 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GC녹십자는 mRNA 생산설비에 대한 준비도 완료한 상황입니다. 2023년 백신 공장이 위치한 전라남도 화순에 mRNA-LNP 제조소를 구축해 전 공정을 모두 자체 기술로 개발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그동안 많은 백신 국산화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mRNA 백신 개발을 본격화하려 한다"며 "검증된 자사의 백신 플랫폼 기술을 토대로 국내 차세대 mRNA 백신 연구를 위한 가능성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하나금융그룹은 17일 장애인의날(20일)을 앞두고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발달장애 예술가와 함께하는 미술공모전 '제4회 하나 아트버스(Hana Artverse)' 시상식을 열었다. 877명의 참가자 가운데 한양대 미술디자인교육센터 심사위원단(심사위원장 김선아 교수) 심사를 거쳐 성인부문 21명, 아동·청소년 부문 9명 등 모두 30명이 수상자로 선정됐고 이들에게는 총 106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성인 수상자 중 선발된 3명에게는 장애인예술가 육성 사회적기업 '스프링샤인' 인턴십프로그램 참여기회가 제공된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가운데)이 성인부문 대상을 차지한 조태성 작가(왼쪽), 아동·청소년부문 대상을 수상한 이재형 작가와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17일 장애인의날(20일)을 앞두고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발달장애 예술가와 함께하는 미술공모전 '제4회 하나 아트버스(Hana Artverse)' 시상식을 열었다. 877명의 참가자 가운데 한양대 미술디자인교육센터 심사위원단(심사위원장 김선아 교수) 심사를 거쳐 성인부문 21명, 아동·청소년 부문 9명 등 모두 30명이 수상자로 선정됐고 이들에게는 총 106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성인 수상자 중 선발된 3명에게는 장애인예술가 육성 사회적기업 '스프링샤인' 인턴십프로그램 참여기회가 제공된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이 아동·청소년부문 우수상 수상작 '연못마을 개구리와 친구들' 앞에서 이도원 작가와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17일 장애인의날(20일)을 앞두고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발달장애 예술가와 함께하는 미술공모전 '제4회 하나 아트버스(Hana Artverse)' 시상식을 열었다. 877명의 참가자 가운데 한양대 미술디자인교육센터 심사위원단(심사위원장 김선아 교수) 심사를 거쳐 성인부문 21명, 아동·청소년 부문 9명 등 모두 30명이 수상자로 선정됐고 이들에게는 총 106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성인 수상자 중 선발된 3명에게는 장애인예술가 육성 사회적기업 '스프링샤인' 인턴십프로그램 참여기회가 제공된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이 성인부문 대상을 수상한 조태성 작가의 'ZOO' 작품 앞에서 설명을 듣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17일 장애인의날(20일)을 앞두고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발달장애 예술가와 함께하는 미술공모전 '제4회 하나 아트버스(Hana Artverse)' 시상식을 열었다. 877명의 참가자 가운데 한양대 미술디자인교육센터 심사위원단(심사위원장 김선아 교수) 심사를 거쳐 성인부문 21명, 아동·청소년 부문 9명 등 모두 30명이 수상자로 선정됐고 이들에게는 총 106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성인 수상자 중 선발된 3명에게는 장애인예술가 육성 사회적기업 '스프링샤인' 인턴십프로그램 참여기회가 제공된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앞줄 왼쪽 여섯번째)이 수상작가와 가족, 그룹 임직원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17일 장애인의날(20일)을 앞두고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발달장애 예술가와 함께하는 미술공모전 '제4회 하나 아트버스(Hana Artverse)' 시상식을 열었다. 877명의 참가자 가운데 한양대 미술디자인교육센터 심사위원단(심사위원장 김선아 교수) 심사를 거쳐 성인부문 21명, 아동·청소년 부문 9명 등 모두 30명이 수상자로 선정됐고 이들에게는 총 106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성인 수상자 중 선발된 3명에게는 장애인예술가 육성 사회적기업 '스프링샤인' 인턴십프로그램 참여기회가 제공된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이 전시회장에 설치된 기부키오스크(1회 2000원 카드결제 방식)를 통해 발달장애 예술가들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하고 있다.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에 국내 수출 기업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대미 수출 비중을 높이고 있는 삼양식품[003230]도 예외는 아닙니다. 현지 생산 거점이 없는 탓에 불닭볶음면의 고공행진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삼양식품은 신규 공장 가동과 메인스트림 입점 확대를 통해 관세 파고를 넘겠다는 계획입니다. 18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수출 전략을 확대하고 있는 국내 식품기업들에 관세 리스크가 복병으로 떠올랐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무역 적자 해소 등을 목적으로 지난 9일부터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으나 중국을 제외한 국가는 90일간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상호관세 유예로 잠시 시간을 벌었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합니다. 미국을 무대로 K푸드 열풍을 이끌고 있는 라면의 성장세가 둔화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지난해 한국 농식품 전체 수출액 99억8000만달러 중 라면 수출액은 12억48000만달러로 1위를 기록했는데 이중 미국 수출액이 2억1561만달러로 전년 대비 70%가량 늘었습니다. 라면 3사가 관세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현지 공장 보유 여부에 따라 관세 영향도 엇갈리고 있습니다. 농심은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에 국내 수출 기업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대미 수출 비중을 높이고 있는 삼양식품[003230]도 예외는 아닙니다. 현지 생산 거점이 없는 탓에 불닭볶음면의 고공행진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삼양식품은 신규 공장 가동과 메인스트림 입점 확대를 통해 관세 파고를 넘겠다는 계획입니다. 18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수출 전략을 확대하고 있는 국내 식품기업들에 관세 리스크가 복병으로 떠올랐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무역 적자 해소 등을 목적으로 지난 9일부터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으나 중국을 제외한 국가는 90일간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상호관세 유예로 잠시 시간을 벌었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합니다. 미국을 무대로 K푸드 열풍을 이끌고 있는 라면의 성장세가 둔화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지난해 한국 농식품 전체 수출액 99억8000만달러 중 라면 수출액은 12억48000만달러로 1위를 기록했는데 이중 미국 수출액이 2억1561만달러로 전년 대비 70%가량 늘었습니다. 라면 3사가 관세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현지 공장 보유 여부에 따라 관세 영향도 엇갈리고 있습니다. 농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