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투자 포트폴리오 자연자본 분석을 통해 교란, 수질오염, 강우조절, 수질정화를 중대한 자연자본 리스크 요인으로 규정하고 선제적 대응체계를 본격 가동하고 있다고 8일 밝혔습니다. KB금융은 2020년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기업과 생물다양성 플랫폼(BNBP)’ 이니셔티브에 참여했으며, 2022년에는 자연관련 재무정보공개협의체(TNFD)에 가입해 체계적 관리에 나섰습니다. 이번에 발간한 ‘2024 자연자본 공시보고서’를 통해 금융기관으로서 자금흐름을 통해 자연손실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할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회사는 AR³T(Avoid–Reduce–Restore & Regenerate–Transform)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대응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교란 리스크 : KB국민은행이 2021년 ‘적도원칙’에 가입, PF 승인 단계에서 토지이용 전환, 서식지 훼손 등 생물다양성 리스크를 사전 심사합니다. 수질오염 리스크 : ESG 금융과 친환경 인프라 투자를 확대해 폐수재처리·하수재이용·순환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합니다. KB국민카드는 실물카드 대신 친환경 소재 카드와 ‘KB Pay’ 서비스를 강화했습니다. 강우조절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시장 안착을 돕기 위해 ‘KB스타터스 싱가포르’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8일 밝혔습니다. ‘KB스타터스 싱가포르’에 선발된 스타트업은 싱가포르 현지 업무공간 제공은 물론, 현지 기관 네트워크를 활용한 육성 지원을 받게 됩니다. 또한 KB금융의 투자 인프라와 현지 벤처캐피털(VC) 연계 투자지원, 글로벌 기업과의 비즈니스 연결 프로그램, KB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참여 기회도 주어집니다. 특히 올해 선발된 기업은 새롭게 마련된 ‘KB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해 KB국민은행, KB손해보험, KB증권, KB캐피탈 등 KB금융 계열사와 해외 협업과제를 수행하거나 싱가포르 현지 기업과 1대1 비즈니스 매칭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를 거점으로 동남아 시장 진출을 추진하거나 현지에서 창업한 스타트업이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합니다. KB금융은 사업실현 가능성과 성장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참여기업을 선정할 계획입니다. KB금융 관계자는 “KB스타터스 싱가포르를 통해 2022년에는 4개, 2023년에는 10개, 지난해에는 12개 스타트업이 글로벌 진출을 위한 지원을 받았다”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