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카타르 라스라판 산업단지에서 추진되는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발주처는 카타르에너지 LNG(QatarEnergy LNG)이며, 설계·조달·시공(EPC)을 모두 포함한 계약 규모는 약 1조9100억원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LNG 액화플랜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압축하고 수분을 제거한 뒤, 약 20km 길이의 지중 배관을 통해 폐 가스전 지하 공간으로 이송·격리하는 탄소포집·저장(CCS) 설비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설비가 완공되면 연간 약 41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카타르의 산업 배출 저감과 에너지 전환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사는 고압·고온 조건에서 안정적인 압축 및 이송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고도의 엔지니어링 역량이 요구됩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 LNG 프로젝트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인력을 투입하고, 검증된 협력업체와의 공정별 협업을 통해 품질과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산업단지 내 기존 시설과의 간섭을 최소화해 시공 효율성을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공사 준공 목표는 2030년입니다. 본격 가동 후에는 LNG 액화 가치사슬과 탄소관리 인프라
현대건설이 부유식 구조물을 활용한 탄소포집·저장(CCS) 기술을 앞세워 동남아시아 해양 유·가스전을 탄소저감 거점으로 전환하는 사업에 나섭니다. 회사는 지난 13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협약을 맺고, 42개월간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한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번 국책 과제는 고갈된 유·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부유식 CO₂ 주입 시스템의 개념 설계와 FEED(기본설계) 기술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총 연구비는 58억원이며, 현대건설이 주관사로 참여합니다. 한국석유공사, 미국선급협회(ABS), 서울대학교, 인도네시아 페르타미나 대학교 등 국내외 8개 기관이 함께합니다. 기존에는 해양 CCS가 고정식 구조물과 배관을 통해 주입하는 방식이 주류였으나, 저장 지점이 분산된 동남아 환경에서는 모듈형 부유식 설비를 순차적으로 이동·활용하는 방식이 경제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현대건설은 선박형 부유체뿐 아니라 세계 최초로 부유식 콘크리트를 활용한 CO₂ 주입 시스템을 개발해 기본설계승인(AIP)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고정식 대비 인프라 구축 비용을 약 25%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사업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