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갔습니다. 회사는 31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3조28억원, 영업이익 5342억원, 당기순이익 393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3분기 누적 기준 신규 수주는 26조1163억원으로, 연간 목표치 31조1000억원의 83.9%를 달성했습니다. 이라크 해수처리 플랜트, 인천 제물포역 도심공공복합사업 등 주요 사업지 수주를 확보하며 수주잔고는 96조400억원으로 늘었습니다. 이는 약 3.2년치 일감에 해당합니다. 공사비 급등기 착공 현장이 순차적으로 준공되며 사우디 아미랄 패키지4, 디에이치 클래스트 등 대형 프로젝트의 공정이 본격화됐습니다. 이로 인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대비 9.5% 줄었지만, 연간 가이던스(30조4000억원)의 75.7%를 달성했습니다. 현대건설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도 안정적인 원가율을 유지하며 수익성을 방어했습니다. 또한 금융경쟁력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향후 수익성 개선세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3분기 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3조5290억원이며, 유동비율은 152
대우건설이 2025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습니다. 회사는 31일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매출 1조9906억원, 영업이익 56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3분기 누계 기준으로는 매출 6조3406억원, 영업이익 2901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이번 분기 실적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이 2.9% 증가하며 수익성 위주의 내실경영 전략이 효과를 보였다는 평가입니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포인트 상승한 4.6%를 기록했습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진행 중인 현장 수가 줄어 매출은 감소했지만, 철저한 원가관리와 프로젝트 효율화로 수익성을 개선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부문별 매출은 ▲주택건축사업 1조3220억원 ▲토목사업 4089억원 ▲플랜트사업 2195억원 ▲기타 연결종속부문 402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주택건축 부문은 안정적인 분양 사업을 기반으로 견조한 매출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3분기 신규 수주는 11조1556억원으로, 전년 동기(7조3722억원) 대비 51.3% 증가했습니다. 주요 수주 사업에는 ▲부산 ‘서면써밋더뉴’(1조5162억원) ▲수원 ‘망포역세권 복합개발’(7826억원) ▲의정부 ‘탑석푸르지오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올해 3분기 누적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2조259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습니다. 별도 기준 순이익은 1조99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8%, 0.1% 증가했습니다. 시장금리 하락 흐름 속에서도 적극적인 중소기업 지원과 비용 효율화가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3분기 이자이익은 1조9529억원으로 전분기(1조8826억원) 대비 3.7% 증가하며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비이자이익은 3분기 누적 기준 6208억원으로, 전년 동기(3722억원)보다 66.8% 늘었습니다. 수수료수익 개선과 투자 관련 손익이 동시에 확대된 결과입니다. IBK기업은행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중소기업 지원에 집중했습니다. 3분기 말 기준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260조303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3조1100억원(5.3%) 증가했습니다. 전체 대출 잔액은 314조2510억원이며, 이 중 중소기업대출 비중은 83%에 달합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비중이 52%(135조9820억원)로 가장 높았습니다. 기업은행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중소 제조기업 중심의 지원을 강화하며 산업 생태계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산건전성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올해 3분기까지 5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5조782억원)을 이미 넘어선 가운데, 연말까지 6조원을 넘어 7조원에 근접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KB금융이 30일 발표한 3분기 실적에 따르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지배주주지분 기준)은 5조1217억원으로 전년 동기(4조3941억원)보다 16.6%(7276억원) 증가했습니다. 3분기 단독 분기순이익은 1조6860억원으로 4.1%(663억원) 늘었습니다. 이번 호실적은 핵심이익의 고른 성장과 안정적인 비용 관리의 결과로 풀이됩니다. 3분기 누적 순이자이익은 9조7049억원으로 전년보다 1.3% 증가했습니다. 금리 하락과 대출 규제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환경 속에서도 핵심 예금 확대와 조달비용 절감, 건전한 여신 성장 전략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1.96%로 전 분기와 동일하며, 은행 NIM은 1.74%를 유지했습니다. 비이자이익은 3조7390억원으로, 기타영업손익이 감소(–15.4%)했음에도 순수수료이익(2조9524억원)이 3.5% 늘어 견조한 이익 체력을 유지했습니다. 9월 말 기준 보통주자본비율(CET1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이 3조4334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조2254억원)보다 6.5%(2080억원) 증가한 것으로,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3분기 개별 순이익은 1조1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지만, 비이자이익 증가와 비용 효율화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냈습니다. 하나금융은 “환율 변동 등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고 리스크 관리와 비용 절감 노력을 병행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2조259억원으로 전년보다 12.2%(2210억원) 늘었습니다.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부문의 매매평가익이 1조1195억원으로 19.5%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수수료이익(1조6504억원)도 투자금융, 자문, 퇴직연금, 방카슈랑스, 운용리스 등 축적형 수수료 확대에 힘입어 6.7% 늘었습니다. 이자이익(6조7803억원)과 수수료이익을 합한 핵심이익은 8조4307억원으로, 전년 대비 3.8%(3058억원) 증가했습니다.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74%를 기록했습니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2024년 3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이 1조4235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1조2971억원)보다 9.8% 늘어난 수치로, 금리 인하 여파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갔습니다. 다만 직전 분기(1조5491억원)와 비교하면 8.1% 감소했습니다.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4조460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조441억원)보다 10.3%(4169억원) 증가하며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신한금융은 “기업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수수료 수익 확대, 철저한 비용 관리가 안정적인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룹 전체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8조66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로 순이자마진(NIM)은 1.95%에서 1.90%로 다소 하락했지만, 꾸준한 자산 성장이 이자이익을 견인했습니다. 핵심 계열사인 신한은행의 원화대출금은 9월 말 기준 331조479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3.5% 증가한 수치로, 중소기업 대출(2.4%)과 대기업 대출(2.1%)이 고르게 늘었으며, 가계대출은 정책금융 중심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