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 중 15억원을 초과한 거래가 전체의 2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는 2022년 하반기 서울에서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이 13.7%였으나, 지난해 23.8%로 10%포인트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스트레스 DSR 2단계를 시행하며 대출 규제를 강화했지만, 자산가 중심의 수요가 상급지 중심으로 몰리면서 고가 아파트 거래가 증가했습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작년은 서울 강남 3구와 경기 성남, 과천 등 ‘똘똘한 한 채’ 거래 집중이 뚜렷했다”며 “주택시장 변동성에도 안정적인 자산 가치 유지가 가능한 고가 아파트에 수요가 쏠렸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강남권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어 앞으로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 매매는 총 20만1491건으로, 이 중 하반기에는 9만9634건이 이뤄졌습니다. 하반기 기준 금액 구간별 거래 비중은 △6억원 이하 56.3%로 가장 높았고, △6억 초과~9억 이하 22.1%, △9억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3.3㎡당 4000만원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방은 지난달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전월 대비 5.2% 하락한 3996만원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가 3.3㎡당 7639만원으로 전월보다 12.6% 하락해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강북구 5.9%, 관악구 5.6%, 은평구 4.3%, 강서구 3.7% 순으로 하락했습니다. 서초구는 1월 거래량이 전월 146건에서 87건으로 약 40% 감소하며, 고가 단지 거래 비중이 줄어든 영향으로 평균 거래가가 낮아졌습니다. 강북구와 관악구도 시세 대비 저렴한 매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며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반면, 종로구는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31% 상승해 가장 큰 오름폭을 보였습니다. ‘경희궁자이3단지’ 전용 59㎡가 18억1500만원에 신고가로 거래되며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서대문구는 ‘e편한세상신촌’과 ‘신촌푸르지오’의 거래가 이어지며 10.7% 올랐고, 영등포구(6.3%), 용산구(5.8%), 도봉구(5.7%)도 상승했습니다. 면적별로는 전용 85㎡ 초과 구간의 가
서울 광진구에 공급되는 신규 아파트 단지 ‘광진 벨라듀’가 분양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민간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4,408만9000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5.9% 상승한 수치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2015년과 지난해를 비교하면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2배 이상 상승했으며, 특히 2023년과 지난해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 새 아파트에 대한 선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올해 역시 상황은 녹록지 않습니다. 미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출범과 이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공사비 인상 요인이 존재하고, 국내 정치 불안과 경기 침체, 중소건설사의 유동성 위기 등으로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민간 아파트 대상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시행과 층간소음 규제 강화도 예정돼 있어 분양가 인상 압박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같은 불확실성 속에서도 서울은 신규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며, 입지와 분양가 측면에서 경쟁력 있는 단지는 여전히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거 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