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는 올해 3분기 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이 103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5% 감소한 수준으로, IT 인프라 강화와 마케팅 지출이 늘며 비용이 확대된 영향이라는 설명입니다. 3분기 단독 실적도 둔화했습니다. 분기 순이익은 192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회사 측은 운영비 증가가 실적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고객 확대 흐름은 뚜렷했습니다. 3분기 말 고객 수는 1497만명으로 1년간 300만명가량 늘었으며, 10월 초에는 15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같은 기간 수신 잔액은 30조4000억원, 여신 잔액은 17조9000억원으로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수신 중에서는 요구불예금의 역할이 컸습니다. 파킹통장 ‘플러스박스’는 연 최대 2.2% 금리를 기반으로 잔액이 지난 1년간 7조원에서 12조원으로 크게 불었습니다. 기업대출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개인사업자 대출 누적 공급액은 9월 기준 3조원을 초과했으며, 3분기 말 기업대출 잔액은 1조93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80% 이상 증가했습니다. 올해 여신 증가분 중 절반 가까이가 기업대출에서 발생해,
NH농협금융그룹(회장 이찬우)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2조2599억원의 당기순이익(지배주주지분 기준)을 기록했다고 1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조3020억원)보다 1.8%(421억원) 줄어든 수치입니다. 이자이익은 6조1863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3913억원) 대비 3.2% 감소했습니다. 대출채권 규모가 370조4000억원으로 1년 새 7.7% 늘었지만, 시장금리 하락으로 순이자마진(NIM) 축소세가 이어진 결과입니다. 카드 부문을 포함한 은행 NIM은 지난해 9월 1.91%에서 올해 9월 1.67%로 하락했습니다. 농협금융은 “우량 차주 중심의 대출 확대와 핵심예금 유치 강화로 NIM 안정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정부의 ‘생산적금융’ 기조에 발맞춰 여신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고, 조달비용 절감을 통해 이자이익의 적정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반면 비이자이익 부문은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1조8766억원으로 전년 대비 20.6%(3203억원) 늘었습니다. 자본시장 활황에 따른 유가증권 운용 수익과 인수자문·위탁중개 수수료 확대가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관련 수익은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올해 3분기 누적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2조259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습니다. 별도 기준 순이익은 1조99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8%, 0.1% 증가했습니다. 시장금리 하락 흐름 속에서도 적극적인 중소기업 지원과 비용 효율화가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3분기 이자이익은 1조9529억원으로 전분기(1조8826억원) 대비 3.7% 증가하며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비이자이익은 3분기 누적 기준 6208억원으로, 전년 동기(3722억원)보다 66.8% 늘었습니다. 수수료수익 개선과 투자 관련 손익이 동시에 확대된 결과입니다. IBK기업은행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중소기업 지원에 집중했습니다. 3분기 말 기준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260조303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3조1100억원(5.3%) 증가했습니다. 전체 대출 잔액은 314조2510억원이며, 이 중 중소기업대출 비중은 83%에 달합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비중이 52%(135조9820억원)로 가장 높았습니다. 기업은행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중소 제조기업 중심의 지원을 강화하며 산업 생태계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산건전성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이 3조4334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조2254억원)보다 6.5%(2080억원) 증가한 것으로,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3분기 개별 순이익은 1조1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지만, 비이자이익 증가와 비용 효율화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냈습니다. 하나금융은 “환율 변동 등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고 리스크 관리와 비용 절감 노력을 병행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2조259억원으로 전년보다 12.2%(2210억원) 늘었습니다.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부문의 매매평가익이 1조1195억원으로 19.5%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수수료이익(1조6504억원)도 투자금융, 자문, 퇴직연금, 방카슈랑스, 운용리스 등 축적형 수수료 확대에 힘입어 6.7% 늘었습니다. 이자이익(6조7803억원)과 수수료이익을 합한 핵심이익은 8조4307억원으로, 전년 대비 3.8%(3058억원) 증가했습니다.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74%를 기록했습니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842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특히 2분기 실적은 68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47억원) 대비 96.3% 증가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습니다. 이자이익은 대출자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하와 가상자산 예치금 이용료율 상승으로 이자비용이 늘어나 1033억원에 그쳤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1286억원)보다 19.7% 감소한 수치입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197억원으로 1년 전보다 16.2% 늘었습니다. 채권 운용수익과 플랫폼 광고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으며, 특히 앱테크 서비스 ‘용돈받기’는 출시 두 달 만에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해 광고 수익을 4배 이상 끌어올렸습니다. 케이뱅크는 향후 다양한 앱테크 서비스로 광고 제휴를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대손비용도 개선됐습니다. 담보대출 비중 확대와 여신심사 고도화에 힘입어 2분기 대손비용은 413억원으로 전년 동기(562억원) 대비 26.5% 줄었습니다. 케이뱅크는 대안신용평가모형 ‘이퀄’을 도입하고, 카드사 등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심사에 반영하며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건전성 지표 역시 안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1조697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1조420억원) 대비 62.9%(6553억원) 늘어난 수치이며, 직전 분기(6841억원) 대비로는 2.5배(148.1%)에 달하는 증가폭을 보였습니다. 1분기 기준으로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입니다. KB금융은 “지난해 1분기 은행의 ELS 손실보상 충당부채 전입으로 인한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비은행 부문이 고르게 성장한 덕분에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익 기여도는 은행 부문이 58%, 비은행 부문이 42%로 집계돼, 불확실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균형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1분기 순이자이익은 3조2622억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습니다. 은행의 대출이자 수익은 다소 감소했으나, 핵심예금 확대와 조달비용 절감 노력으로 전체 수익성을 방어했습니다. 비이자이익은 순수수료이익과 기타영업손익을 포함해 1조29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습니다. 시장금리 하락으로 유가증권 평가손익이 개선됐고, 직전 분기 대비로는 무려 208% 급증했습니다. 그룹 **순이자마진(NIM)**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