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현대건설, ‘스마트건설 챌린지’ 5년 연속 수상…AI·로봇 기술로 K-건설 고도화 주도

BIM·철도·주택 3개 부문 최우수상
AI·로봇 융합으로 디지털 혁신 가속

 

현대건설이 첨단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건설산업의 스마트화와 고도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스마트건설 챌린지(Smart Construction Challenge)’에서 5년 연속 수상하며 K-건설의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5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건설 챌린지’ 시상식에서 ▲BIM(건설정보모델링) ▲철도 ▲단지·주택 등 3개 부문에서 최우수 혁신상과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습니다. 이번 성과로 회사는 최근 5년간 총 12회 수상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국내 스마트건설 분야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스마트건설 챌린지는 국토교통부와 건설동행위원회가 공동 주최하는 국내 최대 건설 기술 경연으로, ▲BIM ▲철도 ▲도로 ▲단지·주택 ▲안전관리 등 5개 분야의 혁신 기술을 평가합니다. 올해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와 함께 개최돼, 수상 기술의 전시와 발표가 동시에 진행됐습니다.

 

현대건설은 인공지능 기반 프리콘(AI-driven Pre-con) 자동화 시스템으로 BIM 부문 최우수 혁신상을 받았습니다. 이 기술은 설계 단계에서 공정·물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동해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솔루션으로, ▲작업 시간 단축 ▲오차 최소화 ▲비용 절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또한 VR(가상현실)을 활용한 위험성 평가와 공용데이터환경(CDE)을 활용한 협업형 안전관리 기술도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철도 부문에서는 ‘AI 스마트 안전 시스템’이 최우수 혁신상을 차지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현대건설이 이노넷㈜, 아이브스㈜와 함께 개발한 플랫폼으로, 국내 최초로 터널 현장에 적용된 TVWS(TV White Space)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AI 영상 인식과 IoT 센서가 결합돼 지하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사전에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인천도시철도 1호선 검단연장선, 사우디 네옴 터널, 월곶~판교 복선전철 등 국내외 주요 현장에 확대 적용되고 있습니다.

 

단지·주택 부문에서는 삼성물산과 공동 개발한 ‘건설 현장 자재 운반 로봇’이 혁신상을 받았습니다. 이 로봇은 자율주행 기술인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을 활용해 주변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 자재를 운반합니다. 이를 통해 현장 내 작업자 동선과 자재 이동이 분리돼 안전성과 효율성이 동시에 강화됐습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지난 10여 년간 국내외 현장에서 검증된 스마트건설 기술력의 결실”이라며 “AI·로봇·통신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해 현장 중심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하고, K-건설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빌딩스마트협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BIM AWARDS 2025’에서도 ‘강북정수장 BIM 프로젝트’로 엔지니어링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AR(증강현실)과 라이다(LiDAR) 기술을 BIM에 적용해 설계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개선한 사례로 평가받았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