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건설과 BS한양이 공급하는 ‘두산위브&수자인 부평 더퍼스트’가 22일부터 일부 잔여가구를 대상으로 선착순 동·호지정 계약을 진행합니다. 사업지는 인천 부평구 부개4구역에 위치해 7호선 역세권 입지와 1299가구 규모의 대단지라는 점에서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선착순 계약은 부개동 견본주택에서 이뤄지며, 청약통장 없이 만 19세 이상이면 거주 지역과 관계없이 즉시 계약이 가능합니다. 원하는 동·호수를 지정해 바로 계약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입니다. 해당 단지는 비규제지역에 속해 다양한 규제 완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첨자 발표 후 1년 뒤 전매가 가능하고 실거주 의무가 없습니다. 또한 강화된 대출 규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돼 중도금 최대 60% 대출이 가능합니다. 최근 인천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비규제지역 효과가 두드러지며 분양권 거래량도 증가하는 흐름입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10·15 대책 이전 한 달간 113건이던 분양권 거래량은 대책 시행 이후 한 달간 282건으로 2.5배 늘었습니다. 청약에서도 관심이 이어졌습니다. 1·2순위 청약에서 특별공급을 제외한 247가구 모집에 1013명이 신청해 평균
BS한양이 김포시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B2블록에서 공급한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가 1순위 청약에서 모든 타입을 마감했습니다. 지난 18일 실시된 1순위 청약에서는 특별공급을 제외한 528세대 모집에 총 3534건이 접수되며 평균 6.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은 전용 59㎡B 타입으로, 21세대 모집에 262건이 몰려 12.5대 1을 기록했습니다. 이 외에도 모든 타입에서 고른 청약 흐름이 이어지며, 풍무역세권 입지와 상품성에 대한 수요층의 관심이 확인됐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결과가 어느 정도 예상된 흐름이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풍무역과 사우동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듀얼 생활권, 경쟁력 있는 분양가, 판상형 4베이 구조 등 실거주 선호 요소가 확실히 반영되면서 흥행을 이끌었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올해 풍무역세권 분양 단지 가운데 전용 59㎡ 소형 타입을 포함한 유일한 단지라는 점, 10·15 대책 적용을 받지 않는 비규제 단지로 중도금 전액 대출이 가능한 점도 젊은 수요층의 호응을 끌어올린 요인으로 꼽힙니다. 단지는 지하 2층부터 지상 29층까지 총 10개 동, 1071세대 규모로 조성됩니다. 전용 59㎡A 261
BS한양이 선보인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 견본주택이 개관 주말 3일간 약 2만5000명의 방문객이 몰리며 높은 관심을 입증했습니다. 지난 7일 문을 연 견본주택은 첫날부터 관람 대기 행렬이 이어졌고, 주말 내내 입장을 기다리는 인파로 붐볐습니다. 쌀쌀한 날씨에도 현장을 찾은 방문객들은 입지 여건과 단지 설계, 유니트 구성 등을 꼼꼼히 살피며 뜨거운 반응을 보였습니다. 방문객 연령층은 20~30대 신혼부부부터 40~50대 중장년층까지 다양했습니다. 김포뿐 아니라 마곡, 인천, 부천 등 인근 수도권 지역에서도 방문이 이어졌습니다. 관람객들은 풍무역과 사우동 생활권을 모두 누릴 수 있는 듀얼 입지, 합리적인 분양가, 실용적인 평면 설계를 주요 장점으로 꼽았습니다.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는 경기 김포시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B2블록에 조성되며, 지하 2층~지상 29층, 10개 동, 총 1071세대 규모로 건립됩니다. 세대 구성은 ▲59㎡A 261세대 ▲59㎡B 60세대 ▲84㎡ 750세대로, 전 세대에 선호도 높은 판상형 4Bay 구조가 적용됩니다. 이 단지는 풍무역세권 내 올해 분양 단지 가운데 유일하게 전용 59㎡ 타입을 갖추고 있습니
두산건설과 BS한양이 인천 부평구 부개4구역에 공급하는 ‘두산위브&수자인 부평 더퍼스트’가 오는 11일 잔여 가구를 대상으로 무순위 청약을 진행합니다. 이번 청약은 7호선 역세권 입지와 1300가구에 달하는 대규모 브랜드 단지, 그리고 비규제지역의 장점을 동시에 갖춘 만큼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무순위 청약은 1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 전국 거주 만 19세 이상 무주택 세대구성원이라면 청약통장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으며, 당첨자 발표는 14일, 계약은 18일로 예정돼 있습니다. 단지는 인천 내에서도 규제에서 자유로운 비규제지역에 속해 전매제한 기간이 짧고 실거주의무가 없습니다.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수도권 주요 지역의 대출과 청약 자격이 강화된 가운데, 해당 단지는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은 주거상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서 실시된 1·2순위 청약에서는 평균 4.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타입이 마감됐습니다. 특별공급을 제외한 247가구 모집에 1013명이 몰리며 높은 인기를 입증했습니다. 분양 관계자는 “7호선 역세권의 뛰어난 접근성과 부평·부천권의 생활 인프라,
김포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이 올해 연말 수도권 분양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대규모 공급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 일대에서는 명절 이후부터 연말까지 약 3500가구의 신규 물량이 순차적으로 분양될 예정입니다.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은 김포시 사우동 일원 87만㎡ 부지에 조성되는 신흥 주거지로, 총 6500가구·1만7000명 규모의 인구 수용이 가능하도록 계획됐습니다. 주거와 상업 기능이 결합된 복합도시로, 서울 접근성 향상과 자족기능 확보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실수요자들의 기대감도 높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총 6개 블록(B1~B5, C5)이 순차적으로 공급됩니다. 가장 먼저 분양되는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B2블록, 1071가구)**를 시작으로, ▲2차(B1블록·639가구) ▲B3블록(1524가구, 대우건설 시공) ▲B4블록(478가구) ▲B5블록(956가구, 호반건설 시공) ▲C5블록(1110가구·주상복합) 등으로 이어질 예정입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경기도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평균 2037만원으로 처음으로 2000만원을 돌파했습니다. 같은 기간 김포의 평균 분양가는 2211만원으로,
두산건설과 BS한양이 인천 부평구 부개동 일원에 선보이는 ‘두산위브&수자인 부평 더퍼스트’가 견본주택 개관 첫 주말부터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지난 26일 문을 연 견본주택에는 주말 동안 약 1만2000명이 방문하며 흥행 조짐을 보였습니다. 오픈 당일 오전부터 방문객들이 몰려 입장을 기다리는 줄이 길게 늘었고, 내부 유닛을 둘러보려는 관람객으로 전시관이 붐볐습니다. 방문객은 인천·부천 등 인접 지역뿐 아니라 서울과 수도권 각지에서도 찾아와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특히 서울지하철 7호선 굴포천역이 도보권에 위치한 입지 여건과 브랜드 대단지의 희소성이 맞물리면서 인기가 이어졌습니다. 분양 플랫폼 ‘호갱노노’에서는 오픈 당일 인천지역 방문자수 1위를 기록하며 온라인에서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실제 방문객들의 반응도 긍정적입니다. 부평구에 거주하는 40대 관람객은 “7호선을 이용하면 서울 주요 업무지까지 이동이 편리하고, 주변 생활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며 “오랜만에 부평에서 신축 단지가 공급돼 기대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30대 직장인은 “가산디지털단지로 출퇴근 중인데, 환승 없이 이동 가능한 교통 여건이 매력적”이라며 “비규제지역이라
중견건설사 BS한양이 공공기관과 손잡고 공공주택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비교적 수익성이 안정적인 공공부문 참여를 통해 건설 실적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습니다. BS한양은 지난 15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밀양 부북 A-1, S-2블록 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공모한 ‘거제 아주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업’에서 각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두 사업의 총사업비는 약 6262억원에 달합니다. 밀양 부북 프로젝트(사업비 2900억원)는 LH가 올해 처음 추진하는 민간참여형 공공주택으로 공동주택 1066가구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올해 12월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BS한양은 지난해에도 경기 평택 고덕 패키지형 공공주택 공모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민간참여 공공주택은 LH가 토지를 제공하고 민간 건설사가 시공과 분양을 담당해 손익을 공유하는 구조입니다. 회사 측은 “공사비 정산 방식으로 직접 정산 방안을 제안해 공사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HUG가 공모한 거제 아주 프로젝트(사업비 3362억원)는 거제 아주동 일대에 1220가구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