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는 지난 9월 서울 마곡 사옥에 ‘스마트 종합안전관제상황실’을 마련하고, 정규직 중심의 안전관리 전담 인력을 전국 현장에 투입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회사는 이를 통해 원청사의 안전책임을 강화하고 현장 대응력을 높일 계획입니다. 새로 구축된 시스템은 전국 현장의 안전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55인치 모니터 32대가 설치된 상황실에서는 근로자 출역 현황, 위험구역 관리, TBM(작업 전 안전회의) 실시 현황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DL이앤씨는 또한 IoT 기반 ‘안전삐삐’를 도입해 근로자의 위치와 층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거나 위험지역에 접근하면 경고가 울리며, 근로자가 직접 SOS 신호를 보낼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구조와 대응이 가능해졌습니다. 회사는 장애인고용공단을 통해 채용된 약 50명의 CCTV 관제요원을 운영하며, 이들이 자택에서 현장을 모니터링해 이상 상황을 본사로 실시간 보고하도록 했습니다. 또한 CCTV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장 순찰 인력도 대폭 확대했습니다. 현장 직원과 신호수에게는 바디캠 착용을 의무화해 사고 원인 분석
㈜한화 건설부문(대표이사 김승모)이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CCTV 통합관제 시스템에 인공지능(AI) 영상분석 기술을 도입한다고 12일 밝혔습니다. 한화건설은 지난 2022년부터 고위험 작업을 본사에서 실시간으로 관제하는 ‘H-HIMS(High-risk Hazard Integrated Monitoring System)’를 선제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국 현장의 CCTV 영상을 최대 128개 화면에서 동시에 모니터링하며, 현장 안전관리자와 본사 관제 조직 간 신속한 정보 공유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주요 작업구간에 따라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이동식 CCTV를 적극 활용해 ‘현장 밀착형 안전관리’를 실현해 왔습니다. 회사는 이러한 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해 AI 영상분석 기능을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지난 7월에는 AI 기반 스마트 관제 시스템 시연회를 열고, 일부 시범 현장에서 효과를 검증하는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AI 기술은 작업자의 이동을 추적해 개구부나 타워크레인 하부 등 위험지역 접근 시 자동으로 경고를 발령합니다. 또한 세대수직망 등 안전시설물 훼손 여부를 감지해 위험 상황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