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는 지난 2일 개인사업자 대상 신용대출 상품의 한도를 기존 1억 원에서 3억 원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개인사업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1억 원을 초과하는 대출은 전문직종 개인사업자 및 우량사업자를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이날 기준 해당 대출의 금리는 최저 연 3.34%에서 최고 9.27% 사이로 유지되며, 경쟁력 있는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신용등급 1~3등급의 개인사업자에게 신규취급 기준 4%대 초반 금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19개 은행 중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1억 원 초과 대출을 실행한 경우, 자금의 실제 용도를 확인하는 ‘자금용도외 유용 사후점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이 절차는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며, 서류 제출부터 점검 완료까지 모두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금융권 최초로 도입된 비대면 스크래핑 기반 시스템을 활용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대출과정에서 고객이 자금을 개인 용도로 전용하지 않도록 유의사항 안내와 OX퀴즈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
◇ 중·저신용 대출 공급 확대…누적 취급액 13조 돌파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에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개인 및 개인사업자 신용대출을 약 6000억 원 규모로 제공했다고 밝혔습니다. 2017년 7월 출범 이후 카카오뱅크가 누적 공급한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규모는 13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중·저신용 대출의 평균잔액 비중은 32.8%로 집계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1년 말 17% 수준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상승한 수치입니다. 카카오뱅크는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 규모와 중도상환수수료 전액 면제로 인해 비중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적극적으로 공급을 확대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 이자부담 완화·리스크 관리 병행 신규로 취급된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의 평균잔액 비중은 33.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올해 목표치인 30%를 초과 달성한 것입니다. 1분기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평균잔액은 4조 9000억 원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 고객의 금융 부담을 덜기 위해 1분기 신용대출 금리를 0.30%포인트 낮춰 제공했습니다. 은행연합회가 집계한 3월 일반 신용대출 평균금
금융위원회(위원장 김병환)는 20일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방안을 최종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오는 7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되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주택담보대출에는 연말까지 6개월간 한시적으로 유예됩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정부의 일관되고 확고한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따라 모든 업권에 DSR을 확대 적용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된다”며 “사실상 모든 가계대출에 미래 금리변동 위험을 반영해 선진적인 부채관리 시스템이 완성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스트레스 DSR은 금리 인하기에 차주의 과도한 대출한도 확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도 효과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스트레스 DSR은 빌린 만큼 갚는 원칙을 정착시키기 위해 지난해 2월과 9월 각각 1단계와 2단계가 시행됐습니다. 이 제도는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액이 연소득의 40%(2금융권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DSR 산정 시 미래 금리상승 위험을 반영해 일정 수준의 스트레스금리를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현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는 단계별로 스트레스금리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번 3단계 시행으로 은행과 2금융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