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부동산 시장이 대출 규제 영향으로 지역별 양극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부동산 데이터 기업 데이터노우즈에 따르면, 지난달 발표된 ‘6억 초과 아파트 대출 규제 강화’ 이후 강남권은 상승폭이 제한된 반면 마포·영등포 등은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습니다. 데이터노우즈가 운영하는 리치고랩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매매가격은 마포구가 0.98%, 영등포구가 0.72%, 광진구가 0.63% 올라 중저가 주택 수요가 몰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고가 아파트 대출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비교적 규제에 덜 묶이는 지역에 수요가 몰린 것이란 분석입니다. 반면 강남구는 고가 아파트 비중이 높은 탓에 대출 규제 직격탄을 맞아 매매가격이 0.41%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전세가격도 0.07%로 소폭 상승하는 데 머물렀습니다. 다만 여전히 탄탄한 실수요가 유지돼 가격 흐름 자체가 꺾이진 않았다는 평가입니다. 전세 시장은 종로구(-0.4%), 금천구(-0.09%), 강서구(-0.09%) 등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종로구는 직주근접성은 우수하지만 학군과 생활 인프라 측면에서 약점이 있고 노후 주택 비중이 높아 실수요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리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정부 시기 서울 아파트값이 2배 이상 폭등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는 강남과 비강남 지역 간 가격 격차가 더욱 커졌다고 밝혔습니다. 경실련은 서울 1000가구 내외 대단지 아파트 중 구별로 3개씩 총 75개 단지를 선정해 국민 평형인 99㎡ 아파트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평당 가격에 30을 곱해 가격을 산출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초반 평균 5억8000만원 수준이던 서울 아파트값은 임기 말 12억6000만원으로 119% 상승했습니다. 이는 노무현 정부 80%, 박근혜 정부 21%보다 훨씬 높은 상승률입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오히려 서울 아파트값이 5억3000만원에서 4억7000만원으로 10% 하락했습니다. 윤석열 정부 3년간은 12억6000만원에서 12억8000만원으로 1%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서울 아파트를 구매하기 위한 기간도 늘어났습니다. 2003년에는 평균 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16년간 소득을 모아야 했지만, 문재인 정부 말기에는 33년으로 증가했고 윤석열 정부에서는 32년으로 소폭 줄었습니다. 정부별 강남과 비강남의 격차도 확대됐습니다. 노무현 정부 초기에는 2배(2억6000만원
서울 집값이 본격적으로 하락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급매물이 아니면 거래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지난 1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7로, 작년 6월 셋째 주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수요 대비 공급을 나타내며, 100 미만일 경우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더 많은 상황을 뜻합니다. 서울의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셋째 주 이후 8주 연속 하락 중이며, 특히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동북권의 수치는 92.6으로 가장 낮습니다. 노원구 상계동의 ‘주공5단지’와 ‘상계 주공 12차’, ‘13차’ 등의 실거래가는 작년 하반기 대비 수천만 원씩 하락한 가격에 거래됐습니다. 상계동 A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실수요자들은 급매만 찾고 있어, 매도자들은 호가를 3000만~4000만 원 이상 낮춰야 거래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에 덜 민감한 강남권에서도 거래가 줄고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 84㎡는 작년 10월 초 28억5000만 원에 거래됐으나 12월 말에는 26억1500만 원으로 2억3000만 원 떨어졌습니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