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0일 하반기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행 연 2.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통위는 이날 의결문을 통해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와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최근 발표된 가계부채 대책의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동결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국내 경제 상황과 관련해 금통위는 “향후 소비는 경제심리 개선과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으로 점차 회복되겠지만 수출은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 등으로 둔화될 것”이라며 “대미 무역협상과 내수 회복 속도 등을 둘러싼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상당히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올해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에너지·식품 제외) 상승률은 지난 5월 전망치인 각각 1.9% 수준과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금통위는 국내외 경기 흐름, 환율과 국제유가 동향,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 등을 향후 물가 흐름에 주요 변수로 꼽았습니다. 아울러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 기조와 관련해 “수도권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만큼 거시건전성 정책의 실효성을 점검하는 동시에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경제 성장의 하방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금리 인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7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2.7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통위는 의결문에서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와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추가 점검이 필요하다”며 “현재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대내외 여건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미국발 관세 충격으로 갑자기 어두운 터널 안으로 들어온 느낌”이라며 “지금은 속도를 조절하며 상황이 밝아질 때까지 기다릴 때”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은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 요인이 환율 변동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환율 안정은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이에 대한 주요국 대응이 정해져야 가능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금통위는 경기 전망에 대해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여건 불확실성으로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올해 성장률은 2월 전망치(1.5%)를 밑돌 것으로 보인다”며 “무역협상 결과나 추가경정예산 편성 시기·규모 등으로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