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학원가 인근 지역의 부동산 가치가 높아지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9425만원으로 강남 평균(8810만원)보다 615만원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용 84㎡형으로 환산하면 약 2억원 이상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특히 ▲래미안대치팰리스1단지 ▲대치SK뷰 ▲대치푸르지오써밋 등 학원 밀집 지역에 위치한 단지들이 가장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양천구 목동 역시 학원가 효과가 뚜렷합니다. 같은 기준으로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5649만원으로, 지역 평균(4648만원)보다 1000만원가량 높습니다. 목동5단지는 3.3㎡당 8944만원을 기록하며 우수한 교육환경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경기도 안양 평촌동의 경우 평균 매매가가 3.3㎡당 3084만원으로, 안양시 평균(2499만원)보다 585만원 높았습니다. 이 중 학원가 중심부에 자리한 ‘향촌롯데아파트’는 3921만원으로 지역 내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은 3.3㎡당 2846만원으로 대구 전체 평균(1172만원)의 두 배가 넘는 가격을 기록했습니다. 교육열이 높은
서울시가 강남구 대치동과 송파구 잠실동 일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예고하면서 이들 지역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4일 ‘규제 풀어 민생 살리기 대토론회’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적극 검토 중이며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서울시 내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총 64.53㎢로, 전체 면적의 10.78%에 해당하며 강남구·송파구 국제교류복합지구와 주요 재건축 단지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대치1동과 잠실2동, 잠실3동 등 GBC에서 떨어진 지역의 규제 해제가 유력하다고 보고 있으며, 해당 지역은 비재건축 단지가 많아 우선 해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입니다. 대치1동의 래미안대치팰리스, 개포우성 등과 잠실3동의 잠실주공5단지, 레이크팰리스 등은 규제 해제 시 투자 수요가 유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양대학교 이창무 교수는 해제 기준안을 통해 초기 2년간 집값 안정화 효과가 있었으나 4년 후에는 효과가 미미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신속통합기획으로 지정된 단지의 경우는 해제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별도로 재지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는 지난 4일 34억7천500만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