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라이프(대표이사 사장 이영종)의 시니어사업 전담 자회사인 신한라이프케어가 군인공제회와 손잡고 실버산업 확대에 나섭니다. 회사는 25일 군인공제회와 ‘시니어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군인공제회 21만 회원을 대상으로 복지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추진합니다. 또한 금융투자와 연계 가능한 분야를 함께 검토하며 협력 영역을 넓혀갈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시니어 대상 서비스의 품질을 고도화하고, 협업 가능한 신규 사업 모델을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신한라이프케어는 고령사회 전환 속도에 대응해 금융, 문화·예술, 레저·스포츠, 의료·헬스케어를 아우르는 토탈케어솔루션을 기반으로 차세대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는 구상입니다. 군인공제회와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모델을 다각도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신한라이프케어 관계자는 “군인공제회와 협업해 시니어서비스의 질을 한층 높이고, 초고령사회에 걸맞은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할 것”이라며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시니어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주거학회가 주최하고 한국부동산원이 후원한 ‘초고령사회, 노인주거의 길’ 정책 토론회가 지난 4일 열려 고령층의 행복한 노후를 위한 ‘웰에이징’ 주거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됐습니다. 하성규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이날 토론회에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지원으로 운영되는 노인 주택은 있으나, 중간 소득층 노인이 적정한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실질적 대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하 교수는 단순한 수명 연장을 넘어 건강하고 즐겁게 나이 들어갈 수 있는 웰에이징 기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노인 주거가 단순한 집 이상의 의미로 안전, 건강, 사회적 관계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도 덧붙였습니다. 이어 그는 “노인 주거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직주근접형 일자리 제공, 저렴한 주택 보급, 안전사고 방지 대책 등을 세밀히 반영해야 한다”며 “공동주거 형태만을 고집하기보다는 다양한 주거 모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박미선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초고령사회, 노인주거 정책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발표하며 “하위 자산 20%에 해당하는 고령층 중 자가 주택 보유 비율이 7.7%에 불과하다”며 소득에 따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