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AI예적금상담원과 AI대출상담원에 이어 ‘AI청약상담원’을 새롭게 선보이며 AI 기반 상담서비스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이번 서비스는 생성형AI 기술을 청약 상담에 적용한 것으로, 올 초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되며 금융권 최초의 AI 청약상담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AI청약상담원은 청약 관련 문서 검색과 보유 계좌 정보를 결합해 예상 청약가점·순위 계산, 공급 유형 판별, 공고문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용자가 “부모가 만들어준 청약통장 납입액이 얼마인지, 이 통장으로 청약하면 순위가 어떻게 되나”라고 질문하면, AI는 보유 청약계좌 납입액·회차를 확인해 “총 500만 원, 50회이고 민영주택은 1순위, 국민주택은 2순위”와 같은 개인 맞춤형 답변을 즉시 제공합니다. 또한 “4인가구 소득이 1120만 원일 때 일반공급인지 생애최초 대상인지, 지역 우선공급 조건이 있는지” 등 복잡한 질문에도 청약 기준과 모집공고 내용을 종합해 조건 충족 여부와 가능 유형을 정리해 안내합니다. 긴 공고문을 대신 분석해 핵심 정보만 전달하는 점이 차별화 요소라는 설명입니다. AI는 이용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해 가구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 Daniel)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책임 있는 활용과 윤리적 운영을 위한 내부 관리체계와 기술 고도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고 2일 밝혔습니다. 카카오뱅크는 2023년 금융권 최초로 국제표준 ‘인공지능경영시스템 인증(ISO/IEC 42001)’을 획득하며 AI 관리체계의 안전성과 윤리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어 2024년에는 AI 거버넌스를 본격적으로 운영하며 역할과 책임, 윤리 원칙, 리더십, 위험 수준 평가 등 전 과정을 체계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AI 의사결정의 신뢰 기반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회사는 올해부터 ‘AI 거버넌스 2.0’ 프로젝트를 추진해 지난해 구축한 AI 관리체계를 한 단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카카오뱅크가 금융권에서 쌓은 AI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컴플라이언스, 정책, 조직, 프로세스 등 핵심 영역을 정교화하는 전략 과제로,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 및 ‘AI 기본법 시행’ 대응 ▲AI 거버넌스 적용 범위 확대 ▲AI 윤리 전담 조직 신설 ▲AI 생애주기 준수 절차 개선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카카오뱅크는 AI 투명성과 신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