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북권 대단지로 공급되는 '장위자이 레디언트'의 청약 계약률이 60%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GS건설에 따르면, 장위자이 레디언트는 일반분양 물량 1330가구 가운데 793가구가 계약을 완료하며 59.6%의 계약률을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잔여물량으로 537가구가 남게 됐으며 오는 11일 오후 12시까지 진행되는 무순위 청약을 진행해 공급할 계획입니다. 장위자이 레디언트는 지난해 12월 7일 1순위 청약을 마무리한 결과 평균 경쟁률 3.12대 1이 나온 바 있으며, 49㎡ E타입의 경우 11가구 모집에 10명이 접수해 미달이 나며 2순위 청약까지 받았습니다. 이어 당첨자 및 배수에 든 예비당첨자를 대상으로 계약을 진행했으나 결국 일부 타입서 계약을 마무리하는 데 실패해 무순위 청약에 들어가게 됐습니다. 전용면적 별 무순위 청약 물량은 49㎡ 65가구, 59㎡ 35가구, 72㎡ 173가구, 84㎡ 264가구입니다. 전용 타입별 가장 많은 물량의 경우 49㎡는 B타입(37가구)서, 59㎡는 A타입(24가구)서, 84㎡는 A타입(149가구)서 나왔습니다. 분양가의 경우 49㎡는 6억1660만원~6억9243만원, 59㎡는 7억1870만원~
서울 양천구 목동아파트 6개 단지와 신월시영아파트가 완화된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의 수혜를 입으며 재건축 추진의 첫 단추를 꿰게 됐습니다. 10일 양천구에 따르면, 목동 3·5·7·10·12·14단지와 신월시영아파트 등 7개 단지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가 '조건부 재건축'에서 '재건축'으로 변경됐습니다. 이와 함께 목동 1·2·4·8·13단지는 '조건부 재건축' 판정을 받았습니다. 목동아파트는 지난 1985년부터 1987년 사이 서울 양천구 목동과 신정동 일원에 연이어 들어선 노후 단지입니다. 신월시영은 1988년에 준공돼 재건축 추진 가능 기한인 30년을 넘겼습니다. 하지만 안전진단 통과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그동안 정비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재건축 안전진단 합리화 방안' 통해 안전진단 기준을 완화했고 지난 5일을 기점으로 개정안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완화된 기준에 따르면, 진단 통과에 있어 걸림돌로 작용한 구조안전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50%에서 30%로 줄이고, 주거환경과 설비노후도 비중은 30%로 올려 3개 항목 모두 같은 비율로 맞췄습니다. 또, 30점 이하만 허용되던 재건축 기준을 45점 이하로 늘리고 45~55점은
내년에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35만여 가구가 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인천과 대구는 역대 최다 수준의 입주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시장이 위축된 상황 속에서 공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가격 감소에 의한 '역전세난'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에는 전국 554개 아파트 단지 , 총 35만2031가구가 입주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올해 입주물량(33만2560가구)와 비교할 경우 약 5.8% 증가한 숫자입니다. 권역별로 구분하면 수도권에서는 17만9803가구가, 지방에서는 17만2228가구가 입주물량으로 나옵니다. 광역시도별 입주물량의 경우 경기가 10만9090가구로 가장 많은 가운데 ▲인천(4만4984가구) ▲대구(3만6059가구) ▲충남(2만6621가구) ▲서울(2만5729가구) ▲부산(2만4762가구) ▲경남(1만5221가구) ▲충북(1만2252가구) ▲경북(1만1231가구) 등의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인천과 대구의 경우 지난 2000년 조사를 진행한 이래 최다 물량입니다. 인천은 올해(4만2515가구)에 이어 2년 연속으로 4만가구 이상의 입주물량이 나올 예정이며, 구도심 정비사업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시행 시점이 유예됐지만 개인의 대주주 양도소득세 회피 매물 출회는 올해도 연례행사가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펀더멘털과 관련이 없는 개인 매도 영향이 큰 업종일수록 이벤트 해소 후 반등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28일 신한투자증권은 금투세 시행 시점이 오는 2025년 1월로 2년 유예됐다고 전했다. 여기에 현행 대주주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 기준인 종목당 10억원 이상 보유와 지분율 기준을 유지됐다고 덧붙였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2월 매도 압력은 일반적으로 개인 거래 비중이 높은 중형주와 코스닥을 중심으로 높게 형성된다”며 “소형주는 의외로 개인 매도 강도가 낮게 나타나는데 개인과 개인의 거래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일시적 수급 이벤트 이후 되돌림 현상도 확인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12월 한달 동안 개인의 매도 압력이 코스피 대비 높았던 업종은 대주주 판정 기준일 5일 후 상대수익률이 양호한 경향을 나타났다고 판단했다. 최 연구원은 “올해도 펀더멘털과 관련 없는 개인 매도 영향이 큰 업종일수록 이벤트 해소 후 반등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며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준공한 지 44년 된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미주아파트가 최고 35층, 1370가구의 대단지로 다시 태어납니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1일 제14차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청량리 미주아파트 재건축 기본계획 변경 및 정비구역 지정·경관심의(안)'가 수정 가결됐습니다. 청량리 미주아파트는 지난 1978년 지어진 노후 아파트로 지상 15층, 8개동, 1089가구 규모로 조성돼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가 폭 20m의 도시계획도로로 분리돼 있어 201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상 2개의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된 바 있으나 기존 하나의 주택 단지임을 감안해 이번 심의에서 단일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심의 통과로 미주아파트는 최고 35층 이하, 10개동, 1370세대 규모의 대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며, 총 가구 중 162가구는 공공주택(45㎡, 59㎡, 69㎡, 79㎡)으로 공급됩니다. 공공기여계획 반영에 따라 단지 인근에서 청량리역으로 가기 쉽도록 공공보행통로도 조성되며, 단지 입주민을 비롯한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공회의실, 체험공방, 스터디룸 등의 시설도 함께 마련할 예정입니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청량리 미주아파트 재건축이 완료되면 인근 청량리재
유안타증권은 21일 SAMG엔터에 대해 중국 등 해외 매출 성장에 기반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평가했다.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유안타증권은 SAMG엔터가 IP제작, 유통·플랫폼, MD사업까지 가능한 토탈 솔루션 제공 기업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미니특공대, 캐치티니핑 등 메가 IP를 보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SAMG엔터는 자체 스튜디오를 보유하고 있어 매년 다수의 신작을 출시할 수 있다”며 “앞으로는 중국 내 현지 파트너사를 통해 제품 유통 및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유안타증권은 최근 키즈 컨텐츠들이 변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비채널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환되고 있고 2D에서 3D로 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권 연구원은 “SAMG엔터의 지난해 매출액은 384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성장했고,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3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 성장했다”며 “중국 등 해외 매출 성장을 기반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지인이 지난 11일 기준 광역시도별 아파트 매매 매물건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가 15만4494건으로 매물이 가장 많은 가운데 서울(7만488건), 부산(5만4779건), 대구(4만4886건), 인천(3만9504건) 등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수도권인 경기도와 서울, 인천의 경우 10일 전 매물 수인 14만5893건, 6만7487건, 3만9367건 대비 매물이 늘었으며, 부산과 대구 또한 5만0691건, 4만1275건보다 증가했습니다.
부동산지인이 인구 20만명 이상 지자체를 기준으로 11월 11일부터 12월 11일까지 한달간 아파트 시장동향을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인천 연수구가 2.39% 매매시세 하락률을 나타내며 전국에서 매매시세 내림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성남 수정구(-2.17%), 경기 양주시(-2.09%), 세종시(-2.02%), 화성시(-1.92%)도 아파트 매매시세가 큰 폭으로 내려갔습니다.
부동산지인이 지난 11일 기준 광역시도별 아파트 전세 매물건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경기(10만6594건), 서울(7만3911건), 부산(2만8043건), 인천(2만7727건), 대구(1만7528건)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부산과 대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들이 10일 전보다 전세 매물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서울의 경우 8만7668건에서 1만3757건 줄며 전국 광역시도 중 물량 감소폭이 가장 컸습니다.
부동산지인이 인구 20만명 이상 지자체를 기준으로 11월 11일부터 12월 11일까지 한달간 아파트 시장동향을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양주시가 5.55%의 전세시세 하락률로 전국 지자체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함과 동시에 전 지역 유일하게 5%대 내림률을 기록했습니다. 인천 연수구(-4.81%), 경기 성남 중원구(-4.46%), 경기 시흥시(-4.26%), 경기 고양 덕양구(-4.25%)도 전세시세 하락이 심화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특별시 아파트 실거래 신저가 갱신 단지 TOP 20 1위 : 북가좌동 DMC래미안e편한세상 34평형 -34.29% 2위 : 황학동 롯데캐슬베네치아 34평형 -33.33% 3위 : 길음동 래미안길음1차 31평형 -30.79% 인천 광역시 아파트 실거래 신저가 갱신 단지 TOP 20 1위 : 연수동 유천 29평형 -40.36% 2위 : 운남동 영종센트럴푸르지오자이 33평형 -32.08% 3위 : 운서동 영종어울림1차 48평형 -3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