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042660]은 최근 잠수함의 작전 성능과 생존성을 높여주는 음향측심기, 음탐기 비콘(beacon), 발사형 수중환경측정기 등 음향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 한화오션에 따르면, 이번에 국산화한 음향측심기와 음탐기 비콘, 발사형 수중환경측정기는 잠수함의 눈 역할을 하는 소나(음파탐지기)의 핵심 장비입니다. 음향측심기는 음파를 발사해 바다의 수심과 잠수함의 잠항심도를 측정합니다. 음탐기 비콘은 조난 시 음파를 발사해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발사형 수중환경측정기는 작전 중인 바다 속 환경을 수시로 분석해 수온과 조류 등에 영향을 받는 잠수함 소나의 정확도를 향상하는 장비입니다. 한화오션은 해외 독점업체로부터 수입해 온 장비의 국산화를 통해 50% 정도의 비용절감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수입 장비는 문제가 발생하면 잠수함을 육상으로 끌어올려 수리해야 했으나 국산 제품은 수중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어 효율성에서도 우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장보고-II급 성능개량 사업 등 이미 건조된 잠수함과 더불어 앞으로 진행될 국내 잠수함 및 수출형 잠수함에도 탑재가 가능해 경제적 효과도 높을 것으로 기
퓨젠바이오(대표 김윤수)는 경북 상주시의 건축물 사용 용도 위반 및 농지법 위반 시정명령과 관련, 대구지방법원으로부터 효력 정지 결정이 내려졌다고 12일 밝혔습니다. 상주시는 지난 5월 퓨젠바이오 생산법인의 관내 시설에 대해 화장품 원료를 생산함에 있어 제조업을 기반으로 농업진흥구역에 세울 수 없는 생산시설로 판단하고 이를 건축물 용도 위반과 농지법 위반으로 해 시정명령을 내렸습니다. 퓨젠바이오는기존 화장품 원료는 화학용매 기반 추출 또는 화학 합성을 수반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기에 화학공장에서 생산이 필요한 반면, 세포랩 핵심원료 ‘클렙스’는 생명공학기술이 집약된 그린 배양공정을 사용한 100% 친환경 방식 균사체배양 프로세스를 통해 생산돼 화학공장이 필요치 않다고 주장하며 대구법원에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습니다. 퓨젠바이오 관계자는 "그간 회사 바이오 화장품인 세포랩 원료가 균사체라는 화학 공정이 필요 없는 농생명 공정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기존 화장품 원료가 생산되는 화학 공장 허가가 처음부터 필요하지 않은 상황임을 설명해 왔다"며 "이번 법원 결정에 따라 그동안 추진해 온 친환경 그린공정을 더욱 고도화한 제2 배양센터를 설립을 확정하고 제품 고도화와
삼성물산[028260] 건설부문은 친환경 저탄소 콘크리트 기술을 보유한 캐나다 카본큐어에 750만달러(한화 약 98억원) 규모 지분을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 카본큐어는 지난 2012년 설립된 캐나다 저탄소 콘크리트 기업입니다. 카본큐어가 보유 중인 저탄소 콘크리트 기술은 콘크리트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콘크리트 강도를 높이는 기술입니다. 시멘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이산화탄소 발생양이 감소하고,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경우 영구히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성물산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삼성물산과 삼성벤처투자가 지난 2021년 조성한 CVC 펀드(SVIC-53호)를 통해 진행됐습니다. 양측은 협약을 통해 각사가 보유한 기술과 경쟁력을 활용해 공동 발전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삼성물산은 카본큐어의 기술을 국내외 현장에 적극 도입해 탈탄소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카본큐어의 시장 확장도 돕는다는 구상입니다. 카본큐어는 삼성물산의 탄소저감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조달실장을 맡고 있는 정호진 부사장은 "탄소저감을 위한 공동의 목표에 건설업이 기여할
모바일 금융플랫폼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정보보호의 달' 7월을 맞아 '토스 버그 바운티 챌린지(Toss Bug Bounty Challenge)'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습니다. 버그 바운티는 잠재적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기 위해 공개적으로 공격을 요청하고 유의미한 취약점을 찾아낸 제보자를 포상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국내에서는 금융보안원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관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며 토스는 지난해 자체적으로 시작했습니다. 2회를 맞은 올해는 더 많은 제보를 받고자 챌린지 개최기간을 오는 12월15일까지 5개월로 늘렸습니다. 토스뿐 아니라 토스뱅크, 토스증권, 토스페이먼츠, 토스씨엑스(CX) 등 주요 계열사도 참여합니다. 취약점 신고 대상은 토스뱅크와 토스증권을 제외한 토스 앱 주요 서비스와 각 법인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접수된 취약점은 토스 보안기술팀이 검증·평가합니다. 보안기술팀은 세계 최고 수준의 화이트해커 이종호 리더를 주축으로 팀원 모두 화이트해커로 구성돼 있다고 토스는 밝혔습니다. 이번 챌린지는 국내 토스 가입자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습니다. 버그 바운티 챌린지 공식 홈페이지에서 참가신청하면 버그 바운티에 참여할 수 있는 별도
LG화학[051910]은 20억달러(약 2조6000억원) 규모 외화 교환사채(EB)를 발행했다고 12일 공시했습니다. 교환사채는 회사채 중 하나로 발행기업이 보유한 자사주 또는 타사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의미합니다. 공시에 따르면, 교환사채는 미국 달러(USD)로 발행되며 만기는 5년과 7년입니다. 만기 이자율의 경우 5년물은 1.25%, 7년물은 1.60%입니다. LG화학은 지난 11일 아시아·유럽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 모집서 투자자·기관 150여곳으로부터 투자금 100억달러 이상이 몰렸다고 설명했습니다. 투자금의 경우 기존 발행 목표의 5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교환사채의 교환 대상은 LG화학이 지분 81.84%를 보유한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373220]의 보통주입니다. 교환 가격은 LG에너지솔루션의 전날 종가인 55만원을 기준으로 1주당 5년물은 25%, 7년물은 30% 수준의 프리미엄으로 발행됩니다. LG화학은 확보한 자금으로 미래 성장기반 확충을 위한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에 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LG화학 CFO(최고재무책임자)를 맡고 있는 차동석 사장은 "전세계적인 고금리 환경 속에서도 미래 성장성을 인정받아 우수한
서울 분양시장 분위기가 점점 고조되는 모습입니다. 이달 청약에 나선 청량리 역세권 재개발 단지가 2만명 이상의 일반청약자를 배출하고, 같은 시기 분양을 진행한 강동구의 한 '나홀로' 단지마저 30대 1을 넘는 경쟁률을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1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1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가 88가구 모집에 총 2만1322명의 청약 통장이 접수되며 242.2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해당 1순위 평균 경쟁률은 올해 서울시에서 신규 분양이 진행된 단지 가운데 최고 기록입니다. 타입별로 경쟁률을 구분해 볼 경우 59㎡A가 20가구 모집에 6402명이 청약하며 320.1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59㎡B는 37가구 모집에 1만914명(294.97대 1)이 접수하며 가장 많은 청약자를 냈으며, 51㎡A의 경우 31가구 모집에 4006명이 접수에 나서 129.22대 1의 경쟁률을 올렸습니다. 이와 동시에 강동구 '둔촌 현대수린나'도 18가구 모집에 665명의 청약자를 내며 1순위 평균 36.9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타입별 최고 경쟁률은 48대 1을 기록한 76㎡(1가구 모집 48명 접수
유안타증권은 12일 웅진씽크빅에 대해 ARpedia의 글로벌 확장으로 성장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 35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유안타증권은 웅진씽크빅이 지난 2019년 AR 기술을 접목해 상상력을 자극하는 새로운 양방향 독서 방식인 인터랙티브북을 공개했다고 전했다. 이를 기반으로 ARpedia를 출시해 이익률 개선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웅진씽크빅은 지난 5월 애플 프리미엄 리셀러 사업을 영위하는 대만 Studio A사와 ARpedia 제품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며 “대만은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고 Studio A는 400여개 학교, 160만명의 학생회원을 대상으로 교육기기를 보급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유안타증권은 웅진씽크빅이 지난 3일 월트 디즈니와 IP 사용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디즈니 IP를 통해 글로벌 인지도 상승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권 연구원은 “AR북 5권과 리딩북 30권이 추가된 새로운 구성품이 출시될 것”이라며 “디즈니 IP 계약 이전부터 대만, 베트남, 한국을 제외한 국가들과도 계약이 체결되면서 향후 진출국가 확대에 따른 추가 계약도 기대된다”고 말
여름으로 가면서 서울 아파트 분양시장이 활성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11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서울의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0.3p 상승한 116.2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결과를 취합해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은 지수일 경우 부정적인 전망이, 기준보다 높은 지수를 나타낼 경우 긍정적 전망이 많다는 뜻입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경우 102.7로 전월보다 11.3p 오를 것으로 조사됐으며, 경기는 100, 인천은 92.0으로 각각 지난 달 대비 15.6p, 8.0p 상승할 것으로 나왔습니다. 지방에서는 광주가 120으로 가장 높은 전망치가 나온 가운데, 대전(114.3), 경남, 전남(이상 108.3), 충남(107.7), 충북, 전북(100.0)도 전월 대비 분양 시장 분위기가 좋아질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단, 미분양 우려가 큰 세종의 경우 전월보다 지수가 15.4p 하락한 76.4로 분양 시장이 더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대구(80.0), 부산(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