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거학회가 주최하고 한국부동산원이 후원한 ‘초고령사회, 노인주거의 길’ 정책 토론회가 지난 4일 열려 고령층의 행복한 노후를 위한 ‘웰에이징’ 주거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됐습니다. 하성규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이날 토론회에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지원으로 운영되는 노인 주택은 있으나, 중간 소득층 노인이 적정한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실질적 대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하 교수는 단순한 수명 연장을 넘어 건강하고 즐겁게 나이 들어갈 수 있는 웰에이징 기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노인 주거가 단순한 집 이상의 의미로 안전, 건강, 사회적 관계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도 덧붙였습니다. 이어 그는 “노인 주거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직주근접형 일자리 제공, 저렴한 주택 보급, 안전사고 방지 대책 등을 세밀히 반영해야 한다”며 “공동주거 형태만을 고집하기보다는 다양한 주거 모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박미선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초고령사회, 노인주거 정책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발표하며 “하위 자산 20%에 해당하는 고령층 중 자가 주택 보유 비율이 7.7%에 불과하다”며 소득에 따른
GS건설이 세컨신드롬과 협력해 개인 맞춤형 보관 서비스인 ‘미니창고 다락’을 자이(Xi) 아파트 단지에 새롭게 도입한다고 29일 밝혔습니다. 미니창고 다락은 국내 1위 셀프 스토리지 업체 세컨신드롬이 운영하는 서비스로 자이 단지 입주민은 부족한 세대 내부 공간을 대신해 공용부에 물품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자유롭게 출입해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캠핑용품, 대형 계절 의류, 도서 등 다양한 물품을 맞춤형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아파트 통합 서비스 앱인 ‘자이홈’을 통해 물품 데이터 관리부터 온·습도 모니터링, 사물인터넷(IoT) 기반 원격 개폐 제어 기능까지 지원됩니다. 물품 분실 피해를 최소화하는 보험 시스템과 입주민 전용 무료 운송 서비스 등 추가 혜택도 함께 검토되고 있습니다. GS건설 관계자는 “세컨신드롬과의 협업은 자이가 지향해온 경험 중심의 프리미엄 커뮤니티 철학을 공간 활용으로 확대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새로운 주거 문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선보인 차세대 주거생활 플랫폼 ‘홈닉(Homeniq)’이 빠르게 확산되며 현재까지 누적 5만가구 이상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삼성물산은 14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 힐스테이트 단지에 홈닉 플랫폼을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단지는 2003년에 준공된 구축 아파트로, 홈닉 도입을 통해 최신 스마트 주거 트렌드를 반영하게 됩니다. 홈닉 앱을 통해 입주민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홈그라운드 메뉴를 통해 관리비 확인, 설문조사, 입주자대표회의 소통 등도 가능합니다. 또한, ‘홈닉 원패스’ 시스템을 도입해 첨단 보안 기능이 강화됐고, 단지별 IoT 제어, 커뮤니티시설 예약, 방문차량 등록 등 편의 기능도 함께 제공합니다. 홈닉의 ‘라이프 인사이드’ 메뉴에서는 소통 게시판을 통한 입주민 커뮤니티 활동이 가능하며, ‘홈니커스클럽’, ‘홈닉공구’, ‘아파트케어’ 등을 통해 주거 관련 물품과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합니다. 삼성물산은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홈닉 플랫폼을 적용해 왔으며, 최근에는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등 기존 단지로도 확대 적용해 현재까지 8개 단지 약 6000가구에 홈닉을 도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