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한국중부발전, 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EIP자산운용, PIS펀드 등으로 구성된 ‘팀코리아’와 함께 미국 텍사스주에서 7500억원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공사를 시작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명은 ‘LUCY’로, 텍사스 콘초 카운티에 50MWac(455MWdc)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고 운영할 계획입니다. 부지 규모는 여의도의 약 4배로, 축구장 1600여 개에 달하는 면적에서 연간 약 926GWh의 전력을 생산할 예정입니다. 이는 4인 가구 약 26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입니다. 현대건설은 이번 사업의 개발 초기 단계부터 참여해 지분 투자, 기술 검토, 태양광 모듈 공급을 담당합니다. 시공은 현지 업체인 프리모리스가 맡고, 운영은 한국중부발전이 담당합니다. 지난해 8월 투자계약과 사업권 인수계약을 체결했으며, 지난 5월에는 계통 연계 실사와 전력망 운영 인허가를 마쳐 본격 공사에 들어갔습니다. 이번 사업은 미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규제가 강화되기 전 추진돼 2027년 6월 준공 시점에도 별도의 규제를 적용받지 않습니다. 완공 후 생산된 전력은 스타벅스, 워크데이 등 글로벌 기업에 VPPA(가상전
오는 6월 30일부터 사업계획 승인을 받는 민간 아파트는 모두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국토교통부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 절감과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을 개정하고 이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공공건물에만 적용되던 제로에너지 기준이 민간 아파트까지 확대되면서, 신축 공동주택에도 단열 성능 강화와 신재생에너지 사용 의무화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창호 단열재 등급은 기존 2등급에서 1등급으로 강화되고, 단위면적(㎡)당 조명 밀도 기준은 8W 이하에서 6W 이하로 낮아집니다. 신재생에너지 설계 점수 기준도 기존 25점에서 50점으로 상향되며, 환기용 전열교환기 설치가 의무화됩니다. 국토부는 전용 84㎡ 기준 아파트의 경우 평균 건설비가 가구당 약 130만원 증가하지만, 연간 약 22만원의 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약 6년 내 공사비를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건설업계는 정부의 예상보다 훨씬 많은 공사비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일부 대형 건설사는 공공주택 시공 사례를 기준으로 한 비용 산정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지적
포스코이앤씨는 노르웨이 국영 에너지 기업 에퀴노르와 ‘울산 반딧불이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의 육상공사 기본설계(FEED)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은 지난해 11월 맺은 독점공급합의(PSA)를 바탕으로 추진됐으며 향후 설계·조달·시공(EPC) 본계약으로 이어지기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됩니다.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해안 접속부, 지중 케이블 터널, 송전 케이블, 육상 변전소 등 핵심 인프라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을 종합 검토해 원활한 EPC 전환을 준비할 계획입니다. 울산 반딧불이 해상풍력사업은 울산항 동쪽 약 70km 해역에 750메가와트(M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울산 지역 모든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포스코이앤씨는 노르웨이 DNV, 남성해운, HA-에너지 등과도 협력해 해상풍력 기술력과 운송·설치 전용선박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에퀴노르와의 이번 협업은 기술 완성도와 사업 시너지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소 건설사와 기자재 업체 등과의 상생도 강화해 국내 부유식 해상풍력 경쟁력을 키워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