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배너

유한양행, AACR 2025서 YH32367 1상 결과 등 발표

LASER 301 연구 후속 분석 결과도 공개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은 지난 28일(현지 시각)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YH32367(ABL105)의 임상 1상 결과와 렉라자(레이저티닙)의 임상3상 연구에서 1차 치료 시 저항성 기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유한양행이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면역항암제 YH32367은 HER2 발현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 T 면역세포 활성 수용체인 4-1BB를 자극해 면역세포의 항암 작용을 증가시킵니다. 종양 특이적 면역 활성을 높이는 동시에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이중항체입니다.

 

이 임상시험은 HER2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YH32367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및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최초 인간 대상 임상 1/2상입니다. 용량 증량 파트와 용량 확장 파트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결과는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된 용량 증량 파트로 2022년 10월부터 총 32명의 환자(담도암 14명, 위암 9명, 기타 고형암 9명)가 등록돼 0.3mg/kg에서 30mg/kg까지 8단계의 용량을 단계적으로 증량했으며 3주 간격으로 투여됐습니다.

 

유한양행에 따르면 임상시험 결과 모든 용량에서 용량 제한 독성(DLT) 반응이 없었으며 최대 내약용량(MTD)에 도달하지 않았습니다. 치료 관련 이상반응(TRAEs)은 10명(31%)에서 보고됐고 주로 발열과 오한으로 대부분 1-2 등급의 경미한 수준이었습니다. 

 

측정 가능한 병변이 있는 환자 31명 중 7명이 부분반응(PR)을, 10명이 안정질병(SD)으로 평가돼 23%의 객관적 반응률(ORR)과 55%의 질병 조절률(DCR)을 보였다는 설명입니다.

 

김열홍 유한양행 R&D 총괄 사장은 "이번 AACR에서 발표된 임상 데이터를 통해 YH32367의 우수한 안전성 프로파일과 고무적인 항종양 활성을 확인했다"며 "YH32367이 향후 담도암을 비롯한 여러 고형암 환자들을 위한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한양행은 이날 진행성 EGFR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렉라자의 1차 치료제 허가를 이끌었던 LASER 301 연구의 후속 분석 결과도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렉라자를 투여한 환자 중 치료 전과 질병 진행 시점에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을 수행한 82명을 대상으로 렉라자의 저항성 기전을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 EGFR 관련 경로에서의 유전자 변이는 전체 환자의 16%에서 관찰됐고 이 중 EGFR C797S 변이의 빈도가 가장 높았습니다.

 

EGFR 경로 외 유전자 변이는 43%에서 확인됐으며 특히 PIK3CA 및 TP53 변이의 빈도가 높았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변이들은 치료 기간과는 명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또 렉라자 치료 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알려진 순환 종양 DNA의 소실은 94%의 환자에서 확인됐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조병철 연세 암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이번 저항성 분석을 통해 렉라자의 저항성 기전을 이해해 향후 이를 보완할 치료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좋은 자료를 확보했다"며 "동시에 렉라자의 EGFR 변이 비소세포암에 대한 강력한 억제 효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