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 경제

배너

환율불안에 기준금리 동결…“3개월내 인하 가능성”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75% 유지
"환율변동성·가계대출 더 살펴봐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7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2.75%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날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미 관세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경로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의 높은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대내외 여건변화를 점검해 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동결배경을 밝혔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미국발 관세충격과 관련해 "갑자기 어두운 터널안으로 들어온 느낌"이라며 "스피드를 조절하면서 밝아질 때까지 기다리자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우리나라 정치 불확실성이 많이 떨어졌지만 아직 남아있어서 이게 어떻게 해소될지에 따라 환율변동성이 영향받을 것"이라며 "환율변동성이 줄어들려면 미 행정부 관세정책이 어떻게 될지,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수용할지 보복할지 등이 정해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금통위는 경제성장률에 대해 "앞으로 내수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여건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둔화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며 "올해 성장률은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으로 보이나 향후 무역협상의 전개양상, 추가경정예산 시기·규모 등 관련한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환율상승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하더라도 유가 하락, 낮은 수요압력 등으로 2% 내외의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방향에 대해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대내외 정책여건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가계부채, 환율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추가인하 시기와 속도 등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간담회에서 "금융통화위원 6명 모두 3개월내 기준금리를 연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금통위원들은 5월에 우리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굉장히 큰 상황이므로 전망수정치와 금융시장 상황, 외환시장 상황 등을 보면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전했습니다.

배너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