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 경제

배너

수출입은행 중소중견·기간산업에 20조 정책자금 공급

상호관세 도입 따른 수출위기 대응
중소·중견 6.5조, 철강·석화 10조원

 

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윤희성)은 11일 미국의 상호관세 도입 등 통상정책 변화로 인한 수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20조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기업의 수출과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6조5000억원 규모의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합니다. 신용도가 낮고 대외환경 변화에 취약한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2.0%p까지 금리를 내려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금융비용 부담 등 경영 어려움을 완화합니다.


통상대응·신시장 개척·ESG 대응을 위해 수출입은행이 자체비용으로 지원하는 무상 종합컨설팅서비스 규모는 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2배 확대합니다.


또 수출 관련 대출에 한해 무상으로 제공하던 대출 통화전환옵션을 수입 관련 대출까지 확대합니다. 통화전환옵션은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대출기간중 최대 2회 대출통화를 전환(원화↔외화, 외화↔여타외화) 할 수 있는 권리를 무상부여하는 것입니다.


수출입은행은 글로벌 공급과잉에 통상환경 변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석유화학·철강 등 위기 기간산업에는 총 10조원의 유동성을 공급합니다. 최대 0.6%p 금리우대합니다.


대기업과 함께 동반으로 해외진출했거나 국내에서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에는 총 3조원의 상생금융을 지원합니다. 최대 1.0%p까지 금리우대됩니다.

 


수출입은행은 기업의 대외환경 변화 취약성을 극복하고 원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책도 마련했습니다. 신시장 개척 등 수출다변화 기업에 금리 인센티브와 함께 1조원의 금융을 제공하고 미래신산업 육성과 기존 주력산업의 고부가·친환경 전환을 위해 R&D 관련 대출한도를 확대합니다.


수출입은행은 기존 대출방식뿐 아니라 첨단전략산업 등 신산업육성에 긴요한 투자금융, 지난해 신설·운영 중인 연 10조원 규모의 공급망안정화기금 등 정책금융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주요국과 경쟁심화 등 복합적 경제·산업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시에 과감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 기업이 신통상질서, 산업환경 재편 등 대외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부연했습니다.

배너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