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카타르 라스라판 산업단지에서 추진되는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발주처는 카타르에너지 LNG(QatarEnergy LNG)이며, 설계·조달·시공(EPC)을 모두 포함한 계약 규모는 약 1조9100억원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LNG 액화플랜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압축하고 수분을 제거한 뒤, 약 20km 길이의 지중 배관을 통해 폐 가스전 지하 공간으로 이송·격리하는 탄소포집·저장(CCS) 설비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설비가 완공되면 연간 약 41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카타르의 산업 배출 저감과 에너지 전환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사는 고압·고온 조건에서 안정적인 압축 및 이송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고도의 엔지니어링 역량이 요구됩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 LNG 프로젝트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인력을 투입하고, 검증된 협력업체와의 공정별 협업을 통해 품질과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산업단지 내 기존 시설과의 간섭을 최소화해 시공 효율성을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공사 준공 목표는 2030년입니다. 본격 가동 후에는 LNG 액화 가치사슬과 탄소관리 인프라
DL이앤씨의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전문 자회사 **카본코(CarbonCo)**가 세계적 수준의 이산화탄소 흡수제 개발에 성공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이번 성과는 화력발전 등 산업 공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핵심 기술로 평가받습니다. 카본코가 개발한 액상형 흡수제는 화석연료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소재로, 기존 상용 제품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대폭 절감한 것이 특징입니다. 1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2.15기가줄(GJ)**에 불과하며, 이는 대표적인 상용 흡수제인 모노에탄올아민(MEA) 대비 약 46% 이상 절감된 수치입니다. 이 흡수제는 최근 캐나다 **앨버타탄소전환기술센터(ACCTC)**에서 하루 6톤 규모(6TPD)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성능이 입증됐습니다. 실증 결과, 카본코의 흡수제는 세계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는 바스프(BASF), 셸(Shell), 미쓰비시중공업(MHI) 제품과 견줄 만한 수준으로 평가됐습니다.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배기가스 내 4~25% 수준의 CO₂를 선택적으로 흡수해 분리하는 방식으로, 흡수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