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이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025년도 종합건설업 토건 시공능력평가’에서 23위를 차지하며 지난해보다 3계단 상승한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이번 결과는 쌍용건설이 2022년 33위에서 2023년 28위, 2024년 26위를 거쳐 2025년 23위에 오르기까지 최근 3년간 꾸준히 순위를 끌어올린 끝에 이뤄진 것으로, 총 10단계 상승이라는 의미 있는 지표로 평가됩니다. 회사는 그간 설계 변경을 통한 공정 최적화와 원가 절감 노력을 강화하며,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해 왔습니다. 아울러 기술 인력의 자격 승급과 교육 확대, 미신고 인력 등록 확대 등 인사 관리 부문의 체계적인 개선도 병행했습니다. 이러한 조직적 변화는 기술능력 평가액 증가로 이어졌으며, 결국 시공능력평가 순위 상승이라는 가시적인 결과를 만들어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원가 경쟁력을 기반으로 기술적 차별화에 더욱 집중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며 순위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현대건설이 협력업체의 기술 제안을 설계·시공에 적용하고, 이에 따른 원가 절감 성과를 함께 나누는 새로운 방식의 ‘성과공유형 VE(Value Engineering) 보상제도’를 정식으로 도입했습니다. 이 제도는 협력사로부터 받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프로젝트에 반영해 공사비를 절감할 경우, 그 절감 금액의 절반을 제안 기업에 보상하는 구조로, 국내 건설업계에서 정식으로 실행되는 첫 사례로 평가됩니다. 성과공유 절차는 총 7단계로 구성되며, 1차 타당성 검토를 시작으로 실효성 평가, VE 제안서 접수, 계약 변경, 시공 단계, 성과 정산까지 이어집니다. 특히 품질 확보와 안전성 유지를 최우선 원칙으로 삼고 있으며, 일정 지연이나 품질 저하 우려가 있는 제안은 철저한 검토를 거쳐 채택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현재 토목, 뉴에너지, 플랜트 부문을 중심으로 국내외 자재 및 하도급 계약 현장에 시범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건축 및 주택 분야로의 확대 도입도 검토 중입니다. 현대건설 측은 “협력사의 제안이 단순 검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성과로 환원되도록 한 점에서 제도적 진전이 있다”며 “기술 기반의 협업 체계를 고도화함으로써 장기적인 경쟁력을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