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와 부산도시공사가 공동 주최한 ‘제1회 지산학협력 주거복지 해커톤’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이번 행사는 대학과 공공기관이 협력해 지역 주거복지 현안을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공공디자인의 사회적 가치를 확산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습니다. 지난달 28일부터 29일까지 해운대 부산도시공사 아르피나에서 열린 이번 해커톤은 부산대 라이즈(RISE) 사업단의 후원을 받아 진행됐습니다.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복지 향상과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학생들이 직접 참여해 실질적인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했습니다. 행사는 부산대 실내환경디자인학과 학생회 ‘뉴딜(NEW DEAL)’이 직접 기획·운영을 맡았으며, 교수진과 부산도시공사 관계자들이 멘토링 및 심사를 담당했습니다. 참가팀은 부산도시공사가 관리하는 ▲개금 2지구 ▲다대 4지구를 중심으로 현장조사부터 기획, 설계, 발표까지 전 과정을 수행했습니다. 참가 학생들은 도시공사의 주거복지 정책 특강을 통해 실제 사업의 이해도를 높였고, 교수진의 세 차례 크리틱(비평)과 핀업(핀보드 발표)을 통해 제안안을 구체화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이면서도 실현 가능한 공간 개선 아이디어가 다수 도출됐습
부산시는 15일 중구·영도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부산도시공사와 함께 구조적 위험이 큰 E등급 공동주택 거주민을 위한 임대주택 지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은 건축물 안전등급 E로 판정된 공동주택의 주민들이 재난 위험에서 벗어나 안전하게 이주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으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열린 시민안전 비상대책 보고회에서 진행됐습니다. 협약식에는 최진봉 중구청장, 김기재 영도구청장, 최희숙 LH 부산울산지역본부장, 신창호 부산도시공사 사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현재 부산에서는 약 425세대의 주민이 E등급 공동주택에서 생활 중입니다. 그러나 경제적 여건과 임대주택 입주 자격 제한 등으로 인해 이주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이들 주민은 입주 조건 없이 최초 2년간 임대주택을 제공받고, 자격을 충족할 경우 2년 단위로 재계약이 가능합니다. LH와 부산도시공사는 전세임대의 경우, 주민이 직접 주택을 구하면 전세금의 최대 98%까지 지원합니다. 중구와 영도구는 거주민을 긴급주거지원 대상자로 지정하고,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해 최대 3000만 원의 임대보증금 융자와 실비 이사비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부산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