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건설부문은 울산 남구 무거동에서 ‘한화포레나 울산무거’ 견본주택을 19일 개관하고 분양 절차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단지는 지하 3층에서 지상 25층까지 8개 동 규모로 조성되며, 전용 84~166㎡ 총 816세대로 구성됩니다. 타입은 ▲84㎡A 275세대 ▲84㎡B 151세대 ▲84㎡C 165세대 ▲99㎡ 67세대 ▲109㎡ 156세대 ▲166㎡P 2세대입니다. 해당 부지는 과거 한화케미칼 사택 부지로, 지역 내에서 주거 선호도가 높았던 상징적 입지입니다. 앞으로 이 일대가 브랜드 타운으로 재편될 예정이어서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생활 인프라도 풍부합니다. 무거동 중심에 자리해 옥동·신정동 생활권과 인접하고, 울산대공원·현대백화점·법원·대형마트 등 주요 시설을 가까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교육환경 역시 삼호초, 옥현초, 삼호중 등 다수의 초·중학교가 단지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합니다. 교통망도 주목할 만합니다. 남부순환도로, 문수로, 울산고속도로 접근성이 뛰어나며, 향후 트램과 광역철도 개발 계획으로 교통 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전망입니다. 상품성 차별화를 위해 외관에는 ‘포레나 익스테리어’와 셰브론글라스 커튼월룩이 적용돼 고급
울산의 신축 아파트 가격이 노후 아파트 대비 약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6대 광역시 중 가장 큰 격차를 기록했습니다. 공급 희소성과 인기 지역 중심의 수요 집중 현상이 맞물리며 나타난 결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R114의 분석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울산 내 입주 1~5년차 신축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3.3㎡당 1706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준공 후 10년을 초과한 노후 아파트는 3.3㎡당 평균 898만원에 머물러 양자 간 가격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서울(1.62배), 대구(1.61배), 부산(1.55배), 인천(1.47배) 등 주요 도시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울산 남구 신정동, 옥동, 무거동 등 이른바 ‘주거 핵심 3대 권역’에서는 지난 5년간 신규 입주 물량이 4712세대에 그치며, 최근 20년간 평균과 비교해도 약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공급 부족 현상은 신축 아파트의 희소 가치를 더욱 부각시키는 배경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 시장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가 가격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라엘에스’ 전용면적 84㎡ 분양권은 지난달 10억4534만원에 거래되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고, ‘문수로 2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