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증권은 15일 삼성중공업이 연간 수주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가능성이 큰 가운데 단독 수주를 통해 수익성 극대화까지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17만원에서 19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SK증권은 삼성중공업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전년동기 대비 8.7%, 84.5% 증가한 2조5525억원, 1437억원으로 전망했다. 한승한 SK증권 연구원은 "상선부문에서 고선과 건조 비중이 확대되고 있고 해양부문에서 차질없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공정 진행도에 따라 실적 개선세를 이어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 연구원은 삼성중공업이 현재까지 액화천연가스운반선(LNGC) 1척, 셔틀탱커 9척, 에탄운반선(VLEC) 2척, 수에즈막스급 유조선 4척을 수주하면서 올해 상선부문 수주목표인 58억달러(한화 약 8조2493억원) 중 39%(22억5000만달러)를 달성, 연간 수주목표를 무난히 채울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최근 모잠비크 정부가 72억달러(약 10조2405억) 규모 코럴 노르떼(Coral Norte) FLNG 개발계획을 승인하면서 2분기내 25억달러(약 3조5557억) 규모 코럴
삼성전자[005930]는 유엔개발계획(UNDP)과 협력해 운영 중인 '제너레이션17' 프로그램에 5명의 청년 리더가 합류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청년 리더는 ▲해양·기후 보호 활동가인 인도네시아 출신 브리지타 구나완 ▲생물학자이자 해양 보호 및 지속 가능성 교육을 전개하는 에듀테크 플랫폼 아카데미아 '델 오세아노'의 공동 설립자인 에콰도르 출신 호세 프란시스코 오초아 ▲성평등 관점에서 기후 정의를 옹호하는 청년 조직 '엠포데라클리마'의 설립자이자 대표인 브라질 출신 레나타 코치 알바렌가 ▲기후 운동가이자 재활용 소재와 전자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교육 키트 개발 스타트업 '이브틱에르고(IBTKRGO)'의 설립자인 요르단 출신 라하프 아부 마이얄레 ▲사회적 기업 '프로젝트 발라'의 공동 설립자인 인도 출신 솜야 다브리왈입니다. 제너레이션17은 삼성전자가 유엔개발계획과 함께 UN이 채택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이하 글로벌 골즈)'를 2030년까지 달성하기 위해 변화를 만들어내는 청년 활동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지난 2020년 '제너레이션17' 출범 이후, 삼성전자와 유엔개발계획은 아시아·아프리카·유럽·라틴아메리카·중동·북미 등
LG전자가 공감지능(AI)을 적용한 다양한 휘센 에어컨을 선보이며 AI 에어컨 시장 저변 확대에 나섭니다. LG전자[066570]는 스탠드 에어컨 판매 호조 속 '휘센 쿨' 신제품을 출시하며 제품 선택지를 넓혔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올해 1분기 스탠드 에어컨 판매량은 전년 대비 약 60% 증가했으며 AI를 탑재한 스탠드 에어컨 '타워'와 '뷰' 판매량은 2배 늘었습니다. 휘센 쿨은 AI가 고객의 생활 환경과 사용 패턴을 학습해 바람을 제공하는 'AI 바람'과 사용 후에는 내부에 남을 수 있는 습기를 자동으로 건조하는 'AI 건조' 기능을 탑재했습니다. 또한, LG 씽큐(LG ThinQ) 앱을 통해 '절전 플래너'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절전 플래너는 시작일과 종료일, 하루 사용 시간과 전력 사용량을 설정하면 목표 초과 시 알림을 보내 에너지 절약을 돕습니다. 이 제품은 구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케어 전문가가 정기적으로 방문해 ▲분해 세척 ▲필터 세척 및 교체 ▲냉방 성능 점검 등을 합니다. 세척 과정에는 피톤치드와 자외선(UV) 케어로 살균 효과를 높였습니다. 휘센 쿨의 출하가는 225~235만원이며 6년 계약 기준 '라이트 플러스' 케어 서비스 이용 시
부산시가 중구·영도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부산도시공사와 함께 E 등급 공동주택 거주자를 위한 임대주택 지원 협약을 15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구조물에 심각한 결함이 있어 재난위험이 큰 E 등급 공동주택 거주민의 이주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열린 시민안전 비상대책 보고회에서 진행됐습니다. 협약식에는 최진봉 중구청장, 김기재 영도구청장, 최희숙 LH 부산울산지역본부장, 신창호 부산도시공사 사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부산에는 현재 425세대의 주민이 E 등급 공동주택에 거주 중이며, 경제적 어려움과 임대주택 입주 자격 제한으로 인해 이주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해당 주민들에게 입주 조건 없이 최초 2년간 임대주택이 제공되며, 자격 충족 시 2년 단위로 재계약이 가능합니다. LH와 부산도시공사는 전세임대의 경우 거주자가 직접 이주 주택을 마련하면 전세금의 최대 98%까지 지원합니다. 중구와 영도구는 해당 거주자들을 긴급주거지원 대상자로 지정하고,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해 최대 3천만 원의 임대보증금 융자와 실비 이사비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부산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위험건축물 해소를 위한 선제적 대응체계를 마련
SK C&C[034730]는 15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맞춤훈련센터·판교디지털훈련센터와 함께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판교디지털훈련센터에서 장애 청년 ICT 인재 양성을 위한 '2025년 씨앗(Smart IT Advanced Training) 얼라이언스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씨앗'은 SK C&C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맞춤훈련센터·판교디지털훈련센터와 함께 운영하는 장애 청년 대상 ICT 교육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입니다. 2017년 1기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총 8기에 걸쳐 283명에 달하는 교육생들이 수료했으며 이 중 90% 이상이 여러 산업 분야에서 ICT 전문가로 취업해 활동 중입니다. '씨앗 얼라이언스'는 씨앗 수료생의 실질적인 채용과 직무 정착을 지원하는 민관 협력 네트워크로 교육-채용-조직 적응에 이르는 장애 청년 커리어 전 과정을 함께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재 두산, 메가존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코리아 등 15개 기업이 얼라이언스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는 씨앗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SK C&C 담당자를 비롯해, 김성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동부지사장, 씨앗 얼라이언스 참여
LG가 지난 8일 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에 위치한 반성중학교에서 올해 첫 '찾아가는 AI 랩'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LG는 '찾아가는 AI 랩'을 올해 정식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고 올해 반성중학교를 시작으로 경남, 충남, 전남 지역에 위치한 12개 중학교를 비롯해 교육 기관과 사전 협의를 통해 '찾아가는 AI 랩'을 확대 운영할 계획입니다. LG는 ▲로봇지능 ▲시각지능 ▲언어지능 ▲AI휴먼 ▲데이터지능 등 LG디스커버리랩에서 운영하고 있는 5개 프로그램 중 가장 인기가 높은 '로봇지능'과 '시각지능'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로봇지능'은 로봇이 스스로 지도를 그리는 원리를 배우고 로봇이 장애물을 피하면서 자율주행하는 과정을 직접 체험해 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시각지능'은 AI가 사람의 표정이나 동작을 보고 판단하는 원리를 배우고 손동작으로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체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LG는 AI 교육 제공을 위해 LG AI연구원, LG전자, LG CNS 등에서 AI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연구원들이 직접 교육 프로그램 교구재 개발과 검증, 교육 콘텐츠 자문 과정에 참여시켰습니다. LG전자는 시범 운영을 통해 교구재 이동 시 부피가 크고
LG전자[066570]가 제품 리뷰 커뮤니티 '재미(Jammy)' 브랜드 모델로 걸그룹 'NMIXX(엔믹스)'를 기용, 이달 14일부터 Z세대 대상 '재미 붐업 캠페인'을 펼친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엔믹스는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 'K판 입덕투어' 출연으로 지난해 LG전자와 첫 연을 맺었습니다. 탄탄한 팬덤과 소통능력으로 YG(Young Generation) 고객들에게 LG전자 브랜드 팬덤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 이번 재미 브랜드 캠페인 모델로 발탁됐습니다. LG전자는 14일 공식 유튜브,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엔믹스스쿨룩 화보와 쇼츠 5종을 공개하며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8월 말까지 약 4개월 간 포털, SNS 등 디지털 광고를 비롯해 홍대, 신촌, 명동, 강남, 성수, 혜화 등 젊은 층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 주요 지역 옥외광고까지 온·오프라인 전방위 채널을 통해 캠페인 콘텐츠를 확산시킬 예정입니다. 1차 공개된 스쿨룩 콘셉트의 '테크컬처' 화보뿐 아니라 아웃도어 스타일의 '낭만컬처' 화보, 홈웨어 콘셉트의 '리빙컬처' 화보와 멤버별 비하인드컷도 순차 공개 예정입니다. 내달 재미 커뮤니티에 'M&B(Must and Best)' 제품 카테고리가 추가됨
현대모비스[012330]는 전기차 배터리셀에 불이 나면 소화 약제를 자동 분사해 진압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개발된 배터리시스템(BSA)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소화장치, 배터리 케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로직으로 구성됩니다. 그중 BMS는 배터리의 온도, 전압, 내부 압력을 분석해 약제를 분사할 위치를 정하고 소화장치를 작동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소프트웨어 로직은 다중안전장치와 이중화된 알고리즘 구조가 적용돼 빠르고 정확한 판단, 대처가 가능하도록 설계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현대모비스는 소화 약제용 배관, 분사 설계기술 등에 대해 국내외 특허를 출원하기도 했습니다. 박용준 현대모비스 배터리시스템연구실장은 "주행거리가 향상된 대형 전기차가 등장하며 배터리시스템의 안전 기준도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며 "앞으로 글로벌 기준을 상회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통합된 고도화된 배터리시스템을 선보이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