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를 향한 보험사들의 러브콜이 계속되지만 MZ세대의 보험 가입률은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습니다. 보험사들의 MZ세대 마케팅 전략에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80년대초~2000년대초에 출생한 MZ세대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가성비를 중시하며, 자신만의 이색적인 경험을 우선시하는 것이 특징.
이런 MZ세대의 성향때문에 기존의 장기보험으로는 MZ세대를 공략하기 어렵습니다. 약관이 복잡하고 보장영역이 넓은 상품으로는 이들의 주목을 받기가 어렵다.
보험설계사와 오프라인 미팅을 갖는 절차도 MZ세대에게는 부담입니다. 손재희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이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는 자기 필요에 따라 보험 정보를 얻는 경향이 강하며 보험설계사의 권유·광고는 가입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 연구위원은 “MZ세대는 일상생활에서 디지털기기를 활용해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소비에 익숙하다”며 “온·오프라인 채널간 유기적인 연결이 없는 현재 보험상품 제공은 MZ세대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보험사들은 MZ세대의 눈길을 끌 다양한 상품들을 내놓고 있다. 보험사들은 저마다 소비자가 필요한 보장을 직접 선택하는 ‘미니보험’과 필요할 때마다 가입하는 ‘원데이보험’을 출시했습니다. 디지털에 익숙한 MZ세대를 위해 비대면 가입 상품도 늘렸다.
하지만 보험사들의 MZ세대 공략에도 불구하고 MZ세대의 보험 신규가입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지난달 10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세대별 보험상품 가입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2010년~2019년) 동안 생명보험의 연평균 신계약 증가율은 60세 이상 고령층이 19.8%, 50대가 5.6%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중년층인 40대의 신계약 증가율은 3.3% 감소했으며, 30대는 7.2%, 30세 미만은 5.5% 줄었다.
아울러 개인형 생명보험 신계약 중 30대가 치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9년 기준 15.9%로 10년 전(28.5%)과 비교해 12.6%p 감소했다.
MZ세대가 보험 가입을 꺼리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미래보다 지금의 행복을 우선시하는 MZ세대의 성향이 보험 소비에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한다.
기성세대가 오프라인에서 죽음·질병 등에 대비하기 위해 설계사를 통해 보험에 가입했다면, 현재를 중시하는 MZ세대는 보험 가입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적게 느낀다는 설명.
기성세대에 비해 MZ세대의 자산 축적 기간이 짧아 보험에 쏟을 자금이 없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보험연구원은 2019년 8월 ‘밀레니얼 세대의 보험 가입’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고용의 질·안정성 악화 등의 영향으로 밀레니얼 세대는 이전세대의 20~30대 시절에 비해 순자산(자산-부채)이 적으며, 이로 인해 자산축적의 필요성이 높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