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빅테크 기업이 보험업에 속속 진출한 가운데, 빅데이터와 AI 등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의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 창출이 보험업계 당면과제로 꼽히고 있다. 보험업계의 디지털 환경 변화는 정통 보험사에 위기인 동시에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Next Insurance (I): 디지털 환경과 보험산업’ 보고서를 발간했다.
손재희 보험연구원 디지털혁신팀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 발간 목적에 대해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이 보험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지속성장을 위해 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보험산업의 변화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보험회사 및 금융당국의 대응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 양과 범주의 확대, 컴퓨팅 기술 발전으로 AI 활용 확대 등은 디지털 선호도가 높은 MZ세대의 경제활동 비중 증가와 맞물려 산업 전반의 디지털 기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관심을 촉발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는 MZ세대뿐만 아니라 중장년층까지 디지털 경험을 확대시켜 보험회사에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됐다는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 손 연구위원은 “빠르고 투명한 정보 전달과 차별화된 경험을 요구하는 소비자와 이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빅테크 기업의 등장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보험업계의 디지털 전환은 생존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보험연구원은 디지털 환경 변화가 기존 보험업의 범주를 확대하고 보험산업의 가치사슬과 지향하는 고객 가치를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손재희 연구위원은 “향후 보험업이 위험을 미리 예측하고 억제하며, 고객이 체험하는 일상에서 즉각적으로 위험을 측정해 측정된 위험만큼 보장하는 데이터 기반 ‘위험관리 서비스’(Insurance as a Service; IaaS)로 발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위험 인수부터 보험금 지급에 이르는 보험서비스의 부가가치 발생 단계는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화·정교화 되며 보험회사는 ▲유연함 ▲개인 맞춤 ▲실시간 제공 ▲끊김 없는 연결이라는 가치를 제공해 고객에게 만족스러운 디지털 보험소비 경험을 제공한다”고 전망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토스 등 빅테크 기업의 보험업 진출로 보험산업의 경쟁구도와 시장 내 플레이어의 핵심 경쟁력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가령, 기존 보험사는 생태계 중심의 시장 환경에서 시장 장악력을 중점, 보상 중심에 머물렀습니다. 이 경우 보험사는 단순 보험금을 지급하는 역할에 머무를 것으로 내다봤다.
빅테크·핀테크사와 기존 보험사의 협업관계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 빅테크 등의 기업이 단순하고 저렴한 상품 주심으로 출시해 보험사와 경쟁적 협력관계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통 보험사는 빅테크·핀테크사의 보험시장 진출에 지나치게 수세적으로 대응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다.
손 연구위원은 “디지털 환경은 보험회사에 위기인 동시에 새로운 성장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선 ▲디지털 고객경험 제공 ▲생태계 확장을 위한 투자 ▲디지털 환경을 성장 촉매로 만들기 위한 현행 규제의 개선과 보완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 등 과제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