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배너

LG전자, 항균 기능성 소재 ‘LG 퓨로텍’으로 글로벌 B2B 시장 공략

아시아 최대 소재 박람회 '차이나 플라스' 참가
유리파우더 사업 매출 작년 두 배 이상 성장
올해 유럽, 북미 등 핵심 시장으로 진출 계획

 

LG전자가 B2B(기업간거래) 신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LG 퓨로텍(PuroTec)'을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 소개하며 글로벌 B2B 고객 확대에 나섰습니다.

 

LG전자[066570]는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15일 개막한 '차이나플라스(Chinaplas) 2025'에 LG 퓨로텍을 선보였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차이나플라스는 아시아 최대 규모 산업 소재 전시회로 전세계 150여개 국가에서 4000여개 업체가 참가합니다. 플라스틱·고무 등 산업에 쓰이는 주요 소재 신기술을 소개하며 미국 NPE(National Plastics Exposition), 독일 K-SHOW와 함께 글로벌 3대 산업 소재 전시회로 꼽힙니다.

 

LG전자는 차이나플라스에서 B2B 고객들에게 다양한 LG 퓨로텍 제품들을 소개하고 이들이 가전·건축자재·의료기기·의류 등 퓨로텍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마련했습니다.

 

오는 10월에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뒤셀도르프에 열리는 K-SHOW에 참가하며 유럽, 북미 등 글로벌 공략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LG 퓨로텍은 플라스틱, 페인트, 고무 등 소재를 만들 때 첨가하면 미생물에 의한 악취, 오염, 변색 등을 막는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냅니다. 적은 양으로도 높은 항균 성능을 낼 수 있으며 플라스틱, 섬유 등 다른 소재에 섞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신소재인 유리 파우더 연구와 이를 가전제품에 적용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퓨로텍을 B2B 신사업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2023년 퓨로텍을 선보인 뒤 중국·베트남·인도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해 왔으며 2024년 매출은 2023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LG전자는 2006년부터 유리 파우더 관련 특허를 출원해 현재 약 420건을 확보했고 항균, 항곰팡이 등 기능을 각기 다른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경남 창원 스마트파크에는 연간 4500톤 규모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지난달 주주총회에서는 고성장하는 기능성 소재 사업을 빠르게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업계에서 추정하는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올해 기준 약 18조원으로 포장·의료·건축 자재 등 활용 범위가 넓습니다.

 

신소재 사업 분야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도 지속합니다. LG전자가 개발 중인 해양 복원에 도움을 주는 해양 환경 보존 기능성 유리 소재 '마린 글래스'가 대표적입니다. 마린 글래스는 물에 녹으면 무기질 이온 상태로 변하는 수용성 소재로 바닷속 미세조류와 해조류 성장을 도와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활용됩니다. LG전자는 친환경 세탁 소재로 쓰일 수 있는 기능성 제품도 개발 중입니다.

 

한편, LG전자는 지난달 대서양 연어를 육상 양식하는 기업 에코아쿠아팜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양측은 연어 가공 과정에서 식품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퓨로텍을 적용하기로 했으며 이를 통해 위생적인 양식·가공 환경을 유지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할 예정입니다.

 

백승태 LG전자 키친설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글로벌 B2B 고객의 니즈에 맞춰 다양한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지속 개발해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