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최덕경 명예교수가 한반도의 콩 역사와 가공식품 전파 경로를 다룬 신간 ‘우리 콩의 역사: 기원과 용도’를 발간했습니다. 이번 책은 저자가 20여 년간 연구한 내용을 집대성한 것으로, 한반도가 콩의 기원지라는 학설을 역사적으로 뒷받침합니다.
중국과 한반도 간 논쟁점이었던 콩의 기원을 한반도에서 시작됐다고 주장하며, 콩 가공식품과 그 전파 경로를 심층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책에 따르면 한반도는 대두가 순화돼 재배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원전 3000년 무렵 순화된 콩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중국 중원 지역의 콩과 크기, 형태에서 차이를 보였습니다. 특히 콩을 이용한 ‘장(醬)’은 동아시아 식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와 함께 두부와 콩나물이 식생활 변화를 견인했으며, 콩 부산물은 가축 사료와 비료로도 사용됐습니다.
최덕경 교수는 “한반도에서 콩 가공식품이 발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양질의 콩과 소금, 발효 기술, 저장 도기 등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됐습니다. 제1부에서는 콩의 기원과 한반도 순화 과정을 설명하고, 제2부에서는 콩 가공식품의 등장과 확산을 분석했습니다. 제3부에서는 한반도의 콩 가공품이 중국과 일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했습니다.
저자는 기존의 중국 중심적 연구를 비판하며, 한반도의 생태적 조건과 출토 유물을 종합해 대두의 기원이 한반도임을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