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 세무상식 ㅣ2025년 기준 부동산 취득세 완벽 정리

  • 등록 2025.06.17 11:23:44
크게보기

취득 유형별 세율
납부 기한과 유의점

 

부동산을 취득하면 반드시 발생하는 세금 중 하나가 바로 '취득세'입니다. 거래 유형이나 면적, 취득가액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선 사전에 취득세를 정확히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취득 유형별 세율

 

주택의 유상 취득 시 취득가액과 주택 면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주택 외 기타 유형의 취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실제 사례별 취득세 계산

 

구체적인 취득 상황에 따른 세금 부담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아파트 5억 취득 : 85㎡ 이하 : 5억 x 1.1% = 550만원 / 85㎡ 초과 : 5억 x 1.3% = 650만원

• 아파트 7억 취득 : 85㎡ 이하 : 7억 x 2.2% = 1,540만원 / 85㎡ 초과 : 7억 x 2.4% = 1,680만원

• 아파트 10억 취득 : 85㎡ 이하 : 10억 x 3.3% = 3,300만원 / 85㎡ 초과 : 10억 x 3.5% = 3,500만원

• 아파트 증여 : 10억 x 4% = 4,000만원 (면적 무관)

• 아파트 상속 : 10억 x 3.16% = 3,160만원 (면적 무관)

• 오피스텔 2억 취득 : 2억 x 4.6% = 920만원

• 상가 30억 취득 : 30억 x 4.6% = 1억 3,800만원

• 토지 10억 취득 : 10억 x 4.6% = 4,600만원

 

3. 납부 기한과 유의점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자진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이를 어길 경우, 최대 20%의 신고불성실 가산세와 하루 0.03%씩 부과되는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적용됩니다.

 

법무사를 통한 명의이전은 자동으로 처리되지만, 셀프등기의 경우 직접 신고해야 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취득 명의를 누구로 하느냐에 따라 세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득이 없는 자(예: 미성년자, 전업주부)가 고가 부동산을 취득할 경우, 국세청은 자금 출처를 조사하며 이를 증여로 간주하여 증여세와 가산세까지 부과할 수 있습니다.

 

삼보 부동산중개법인 대표 김태건

제해영 기자 tony@inthenews.co.kr
Copyright @2018 블록핀(BLOCK FIN) Corp. All rights reserved.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5384/ 등록일: 2018년 09월 08일/ 제호: 블록핀(BLOCKFIN)/ 발행인 문정태 ·편집인: 제해영,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8년 09월 26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제해영 Copyright © 2018~2024 블록핀(BLOCKFIN) All rights reserved. / 블록핀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