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분양 단지가 경기 불황 속에서도 ‘안전 자산’으로서의 입지를 다시금 입증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단지는 총 308개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 지방 물량이 165개로 전체의 53.6%를 차지했습니다.
수도권 지역의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71.4대 1로, 지방 평균 경쟁률 7.0대 1과 비교해 10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경쟁률이 지방의 10배 이상이라는 수치는 ‘똘똘한 한 채’ 선호가 서울권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사상 처음으로 13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KB부동산 월간 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3억2965만 원이었으며, 5월에는 13억4543만 원으로 한 달 새 1577만 원(1.18%) 상승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 매매가격인 5억2543만 원, 수도권 평균 7억7018만 원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준입니다.
반면 지방은 공급 과잉과 수요 위축으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의 지난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5117가구였으며, 이 중 81.8%인 2만543가구가 지방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 구로구 고척동에서는 대우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고척제4주택 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를 분양하고 있습니다.
해당 단지는 지하 3층에서 지상 25층까지 10개 동, 전용면적 39~114㎡, 총 983가구 규모의 대단지입니다. 학군과 학원가 접근성도 뛰어난 점이 특징입니다.
지난달 진행된 1순위 청약에서는 평균 13.5대 1, 최고 37.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오는 11일까지 3일간 정당계약이 진행됩니다.
또한 대우건설과 두산건설 컨소시엄은 서울 영등포 1-13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통해 ‘리버센트 푸르지오 위브’를 이달 말 분양할 예정입니다. 이 단지는 지하 4층에서 지상 33층까지 총 5개 동, 659가구 규모이며, 이 중 175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