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카카오 접근성 서포터즈’ 2기 출범…서비스 디지털 접근성 개선한다

  • 등록 2025.04.18 09:59:29
크게보기

서포터즈 1기, 100여건의 이슈 제보해 서비스 개선에 기여
2기부터는 30명에서 50명으로 인원 확대
링키지랩, 고용노동부로부터 '철탑산업훈장' 수상

 

카카오[035720]가 장애인의 날을 맞아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카카오 서비스의 디지털 접근성 개선을 위한 '카카오 접근성 서포터즈' 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카카오 접근성 서포터즈는 장애인 이용자와 직접 소통하면서 서비스 개선을 논의하는 협력체입니다. 장애 당사자가 서비스에서 느끼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장애, 청각장애 등 장애인 50명으로 구성되며 서포터즈는 1년간 서비스 이용 중 발견한 접근성 이슈를 실시간으로 제보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1기 서포터즈 30명은 1년간 100여건의 크고 작은 서비스 이슈를 제보했습니다. 서포터즈는 접근성 담당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해 기존 고객센터나 내부 시스템보다 대응 단계를 단축하고 서비스 대응 속도를 높이는 데 일조했으며 2기는 50명으로 확대해 활동을 이어갑니다.

 

서포터즈는 향후 1년간 카카오톡 톡서랍, 이모티콘 플러스, 멜론 이용권, 카카오페이지 이용권, 카카오T 포인트 등 카카오 서비스 이용권을 지원받아 활동합니다. 특히, 올해는 서비스별 가이드와 미션을 도입하여 서포터즈가 접근성을 균형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권대열 카카오 ESG위원장은 이날 발대식에 참여해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신 1기 서포터즈분들의 열정 덕분에 2기는 규모를 더 확대해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가장 가까운 곳에서 여러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실질적인 변화를 만드는 데 노력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카카오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인 링키지랩 박대영 대표이사가 지난 16일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2025년 장애인고용촉진대회'에서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했습니다.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 등 장애인 고용 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입니다. 또한, 비장애인 직원의 80%가 장애생활상담원, 사회복지사, 수어통역사 등 장애인 관련 자격증을 취득해 장애 친화적 기업 문화를 구축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카카오가 2016년 설립한 링키지랩은 AI 데이터 품질 관리, 웹 디자인, 디지털 접근성 등 IT 기반의 장애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내 카페와 스낵바 등 복지형 일자리 모델도 자체 개발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기준 136명의 장애인 근로자가 근무 중이며 유연근무제도와 문화 활동 지원 등 복지 제도를 운영해 '2024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으로도 선정된 바 있습니다.

편집국 기자 hopem@hanmail.net
Copyright @2018 블록핀(BLOCK FIN) Corp. All rights reserved.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5384/ 등록일: 2018년 09월 08일/ 제호: 블록핀(BLOCKFIN)/ 발행인 문정태 ·편집인: 제해영,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8년 09월 26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제해영 Copyright © 2018~2024 블록핀(BLOCKFIN) All rights reserved. / 블록핀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