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테크,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검사 장비 개발 착수…국토부 사업 수주

  • 등록 2025.04.16 11:25:05
크게보기

정부지원금 3년 8개월간 총 36억원
“전기차 배터리 사용후 성능 및 안전성 평가 글로벌 표준 선도할 것”

 

이차전지 검사 진단 전문기업 민테크가 전기차 배터리의 사용 후 전 과정에 필수적인 성능평가 및 안전점검 기술과 장비 개발에 착수합니다.

 

민테크[452200]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사용후 배터리 안전점검 기술 및 재제조 배터리 순환 체계 안전관리 기술개발’ 과제의 공동 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습니다. 민테크에 대한 정부 지원금은 3년 8개월간 총 36억원입니다.

 

이번 과제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3단계 안전 점검 기술 개발 및 재제조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제조 안전 관리체계 기술 개발이 목표입니다.

 

정부는 이 과제를 통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안전 점검 및 순환 체계의 안전관리를 실증하고 관련 법제도의 제정과 전기차 배터리의 탈거 전 성능검사 의무화 등을 2027년부터 시행할 계획입니다.

 

현행 사용 후 배터리의 분류체계는 ▲사용 후 배터리의 부속품을 교체·수리해 전기차 배터리로 재조립하는 재제조 ▲부속품을 교체·수리하여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른 용도로 재조립하는 재사용 ▲사용 후 배터리를 파·분쇄하여 리튬·코발트·니켈 등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재활용으로 구분됩니다.

 

2023년 12월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범부처는 ‘이차전지 전주기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재제조·재사용·재활용 시장을 조성해 산업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3단계 안전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 방안에 따르면 1단계는 우선 전기차에서 배터리를 탈거하기 전에 잔존성능과 안전성 등을 미리 평가해 재제조·재사용·재활용으로 용도를 분류합니다. 2단계는 유통 전 안전 검사 단계로 재제조 또는 재사용 배터리 탑재 제품의 안전한 작동 여부 등에 대한 검사기준을 마련합니다. 민테크가 수주한 3단계는 사후 검사 단계로 사용 후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대해 지속적인 안전성 확보 및 품질 유지 검사기준을 마련합니다.

 

민테크 관계자는 “기존 고전압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 검사는 완전 충방전 방식에 의존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었는데 이는 고가의 충방전기가 필요하고 장시간이 소요된다”며 “이번 과제 수행을 통해 검사 시간은 15분 이내로, 비용은 대폭 낮추면서 잔존수명 평가 정합성은 완전충방전 수준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고 설명했습니다.

 

홍영진 대표이사는 “민테크는 배터리 라이프 사이클 전 과정에 필요한 독보적 검사 진단 장비와 솔루션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의 사용 후 성능 및 안전성 평가의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게 될 것이고, 결과물로 제작되는 검사 장비와 솔루션은 글로벌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시장의 필수품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편집국 기자 hopem@hanmail.net
Copyright @2018 블록핀(BLOCK FIN) Corp. All rights reserved.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5384/ 등록일: 2018년 09월 08일/ 제호: 블록핀(BLOCKFIN)/ 발행인 문정태 ·편집인: 제해영,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8년 09월 26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제해영 Copyright © 2018~2024 블록핀(BLOCKFIN) All rights reserved. / 블록핀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